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서울 지역 어린이의 이유 실태 조사
The Study of Infant Feeding in Weaning Period
손경희 , 윤선 , 이영미 , 전주혜 ( Kyung Hee Sohn , Sun Yoon , Young Mee Lee , Joo Hye Jeon )
UCI I410-ECN-0102-2009-570-007385301

본 연구는 어린이의 양육인을 대상으로 어린이의 성장 발육 상태와 이유식에 대한 의식 구조 및 이유식 급식 행동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를 토대로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린이의 키와 체중을 중심으로 영양과 발육도를 판별하는 지표인 Kaup지수를 중심으로 조사어린이의 영양상태 및 발육도를 판정해 본 결과 저영양의 문제가 있는 어린이가 전체의 13.4%, 정상군에 속하는 어린이가 60.6%, 과잉영양의 문제가 있는 어린이가 26.0%로 조사되었으며, 타 조사 결과와도 비교해 볼 때 우리나라 어린이의 영양 문제는 점차 과잉 영양의 문제가 제기될 것으로 추측된다. 2. 전체 조사대상의 97.6%가 이유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조사 대상의 70%이상이 이유식의 중요성을 식생활습관의 형성측면 보다는 영양소의 보충 측면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이유행동의 측면에 있어서 출생 3개월 이전부터 이유식을 시도하는 비율은 44.9%, 5∼6개월 전후로 시도하는 비율은 34%, 조사대상자 모두 10개월 이전에 이유를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4. 이유식의 준비는 어린이를 위하여 이유음식을 특별히 조리하거나 구입하는 경우가 전체의 60.9%를 차지하였으며, 나머지는 어린이를 위하여 이유음식을 따로 준비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이유식 준비에 관련된 행동은 가정의 경제수준이 가장 큰 영향요인이며 가정경제 수준이 높을수록 어린이의 이유음식 준비에 적극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5. 많이 이용되는 이유음식은 야채고기 죽이며(24.8%), 다음이 과일 으깬것(19 7%), 밥에 국을 가한것(16%), 생곡분을 끓인것(10%), 알파화곡분(9.5%), 기타등으로 조사되었다. 6. 이유식급식행동을 계량화하여 측정한 결과(20점기준)평균 15±2.0으로 조사되었으며, 양육인의 교육 정도가 높을수록 이유행동 점수가 높게나타났다(r=0.64, P=0.09). 또한 Kaup지수가 바람직하게 판정받은 그룹과 양육인에 의하여 건강하다고 판정받은 어린이 집단의 경우 양육인의 이유행동 점수가 다소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7. 양육인의 96%가 이유식에 대한 영양 교육을 원하였으며, 가정경제수준이 높은 계층은 전문 책자를 통한 교육을(70%), 경제수준이 낮은 계층은 대중 매체를 통한교육을 원하는 비율(40%)이 각각 높게 나타났다. 이유식에 대한 교육 내용은 이유식의 급식 방법과 급식량(23.8%), 시판제품에 대한특성 분석 비교(23.8%), 가정에서 이유식의 조리 방법 (19.1%)을 교육 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의 이유식에 대한 영양교육의 이유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육 보다는 실직적인 급식 방법에 관한 교육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rowth of children and their care person`s weaning behaviors and its relation between the growth and care person`s attitude and behaviors about weaning. 272 subjects who had child under 2 years old at that time were randomly selected and answered the special questionnaire. Results were as follows: Using to Kaup index, 13.4% of children were estimated undernutrition, 60.6% were normal and 26.0% were estimated overnutrition. 97.6% of respondent (children`s mother) were recognized the need of weaning and the first prurpose of weaning was supplement of nutrients, and the next one was to set up normal food habits. 39.1% of subjects were used normal adult foods as weaning food. 60.9% of subjects were prospered special foods (making at home or buying commercial weaning food). The socioeconomic status was major factor to influence mother`s behaviors about weaning. Vegetable and meat gruel was the most commen weaning food and the next one was fruits puree and rice with soup. The correlationship were found between Kaup index and the score of mother`s weaning behaviors, between mother`s eductional level and the score of weanig behaviors. 96% of subjects wanted nutritional education about weaning. They wanted to know about desirable weaning process and correct informations of commercial weaning foods and the convenient cooking method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socioeconomic status subjects were wanted different eductional methods. Upper socioeconomic group wanted special books about weaning and lower class wanted to be educted through the mass media especially television program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