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동 생지 제조시 같은 밀을 이용해 희분 함량을 달리하여 제분한 밀가루로 만든 냉동 생지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인 farinogram , amylogram, extensogram을 비교 조사하였고, 냉동 생지의 품질을 결정하는 2차 발효 시간, 빵 제품의 수분 함량, 굽기 손실, 부피 및 경도에 미치는 영향을 -20˚C 냉동고에서 제조직후부터 12주까지 저장하면서 비교 조사하였다. 희 분 함량이 높은 밀가루의 경우 farinogram에서 흡수율과 약화도는 증가하였고, 반죽 전체의 강력도는 감소하였으며, 희분 함량이 낮은 밀가루의 경우 amylogram에서 반죽의 최고 점도시 온도와 최고 점도가 높게 나타났고, extensogram에서 면적과 저항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발효 시간이 중가할수록 신장도는 감소하였고 2차 발효 시간도 가장 짧게 나타났다. 희분 함량이 높은 밀가루로 제조한 빵 제품의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고 굽기 손실은 낮게 나타났으며 저장 기간에 따른 빵 제품의 경도 변화는 서서히 증가한 반면 희분 함량이 낮은 밀가루로 제조한 빵 제품의 부피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경도는 낮게 나타났다. 냉동 저장 기간은 짧을수록 제품에 좋은 영향을 미치며 4주 이하가 가장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h contents of bread flour on the rheology of frozen dough in making frozen dough by measuring amylograph, farinograph and extensograph. The quality of frozen-stored dough under freezing condition (-20`C, 12 weeks) was evaluated by measuring final proof time, moisture content, baking loss, loaf volume and hardness of bread with storage time, In bread flour with high ash content farinogram showed that water absorption, degree of softening increased but valorimeter value decreased. In bread flour with low ash content amylograrn showed that gelatinization temperature and maximum viscosity increased and extensogram showed that the area and resistance of the bread flour increased. As the proof time increased the extensibility decreased. Final proof time of frozen dough was shortened at the bread flour with low ash content with storage time. In bread using the flour with high ash content, moisture content, increased but baking loss rate decreased while the hardness of product increased slowly with time. But in bread using the flour with low ash content, the loaf volume of baking increased but the hardness of product decreased. As the frozen storage time was shortened, the product was more stable and better in qu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