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의 fMRI(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나 PET(position emission tomography)과 같은 기능 영상법의 발전으로 기억의 기능 신경해부학적 연구를 활발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종설은 기능영상법을 설명하고, 일화기억, 특히 연합기억(associative memory)에 관여하는 신경망을 체계적으로 규명하고자 한 일련의 연구 예를 기술하고 있다. 정상적인 PET, fMRI연구는 물론, 정상인과 왼쪽 내측 측두엽 간질 환자군을 비교한 기능 영상 연구들 모두가 내측 측두엽이 전두엽과 더불어 연합기억에 필수적인 신경 구조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잘 규명된 행동과제를 기반으로, 환자와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기능 영상법 연구를 적용함으로써, 특정.일화 기억 유형에 관여하는 두뇌 기능 신경해부학 및 관련 두뇌 신경망의 역동적 측면과, 그리고 장기적인 내측 측두엽의 병변에 따른 두뇌 신경 가소성에 대한 이해가 증진 될 수 있을 것이다.
With recent development of functional neuroimaging methods, such as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r PET (positron emission tomography), functional neuroanatomy of memory has been actively investigated. In this review, explained was brifly a basis of those functional neuroimaging methods and described a series of studies where neural network for episodic memory, especially for associative memory was delineated. They included both PET and fMRI studies with normal healthy volunteers, and a neuroiamging study comparing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the left medial temporal lobe epilepsy patient group, during an associative memory task. The converging results suggested that the medial temporal region was an integral part of neural network for the associative memory along with prefrontal regions. Based on well defined behavioral task, applying neuroimaging technique to both normal healthy volunteer and patients, will increase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al neuroanatomy of a specific type of episodic memory, the dynamic aspects of the neural network and the brain plasticity following long-term pathology in medial temporal lob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