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단어의미 추론에서 존재론적 개념, 온전한 대상제약, 형태유사성, 형태복잡성의 역할을 3개의 실험을 통해 살펴보았다. 실험결과, 한국 아동들은 대상물 시행과 물질 시행 모두에서 높은 형태반응을 보였지만, 이 형태반응은 물질 시행보다는 대상물 시행에서 다소 높았다. 또한 온전한 대상 제약도 작용하여 단어 이름으로 조각으로 이루어진 물체보다는 온전한 형태를 지닌 자극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형태복잡성은 3세 아동들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쳤지만 5세 아동들에게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못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단어의미 추론에는 존재론적 범주, 형태유사성, 온전한 대상제약, 형태복잡성 등 여러 가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 결과들을 일본어 연구와 비교하여 어휘구조에 대한 언어 특정성과 관련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We attempt to investigate the role of ontological concept such as solid object and non-solid substance, whole object constraint, shape similarity, and shape complexity in Korean word learning by presenting two experiments. We suggest that the ontological concept plays a role as a universal constraint on word learning, and language specificity also influences early word learning. The `No mass-count syntax` in Korean might incorporate the fact that the Korean-speaking children show stronger orientation toward shape similarity in the substance trials than the English-speaking children do. Other factors such as whole object constraint and stimulus complexity also influence children`s responses in word learn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