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가루에 배합비를 달리하여 완두전분을 대체한 완두 전분 복합분의 제면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완두 전분 첨가 복합분을 이용하여 만든 dough와 cooked dough를 rheometer를 이용하여 기계적 측정을 한 결과 hardness, springiness, gumminess는 시료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cohesiveness만이 밀이 51.6%로 가장 높아 다른 대체전분과 유의성이 있었다.(p<0.05) 국수의 조리특성중 삶은 국수의 무게 증가량은 시료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조리 손실율은 밀가루 국수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P2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차계를 이용하여 색도를 측정한 결과 P30의 L값은 가장 높게 b값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C20은 P30에 비해 L 값은 낮았으나 b값은 비슷했고 밀은 가장 낮은 L값과 가장 높은 b값을 나타내었다. 완두 전분을 많이 첨가할수록 색이 밝아지고 황색도가 낮아졌다.
조리된 국수는 완두전분을 첨가했을 때 transparency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hardness에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30에서는 smoothness가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Stickiness, chewiness, acceptability에서는 시료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P20은 모든 관능적 특성에서 밀가루면과 비슷한 특성을 나타냈으며 국수를 삶았을 때 transparency가 높았다. C20은 P20, P30보다 hardness가 유의적으로 낮거나 smoothness가 높았다. 국수를 국수장국에 말아 10분간 방치한 후의 관능평가에서도 P20은 모든항목에서 P30은 aceeptablity를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W와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완두 전분의 조리된 국수의 swelling 방지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으나 20% 대체한 P20이 완두 전분 첨가면으로서 적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ughs and noodles cooked with the pea starch-wheat composite flour which was substitued with 20% and 30% of pea starch for the flour by the mechanical and sensory evaluation. Wheat dough had the most cohesive property among various composite flour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weight gain after cooking among various noodles. The more the pea starch was subsituted,, the lighter the color was shown by increasing L value. It was also noted that the b value was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pea starch noodle were more transparent in appearance and less smooth in the texture, corn starch-wheat composite flour noodle was softer in the texture significant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hardness between wheat and pea stach composite flour noodles. There were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ickiness, chew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among various noodles. Considering mechanical and sensory results, the composite flour with 20% substitution of pea starch for flour was more suitable for the production of the noodle than those of 30% substitution of pea st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