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울토마토의 생산단계에서의 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수확후 저장기간중 경시변화 및 세척에 의한 잔류농약의 감소양상을 파악하였다. 해당약제를 안전사용기준의 기준량 및 배량을 각각 시설재배 포장에서 살포후 10일간 잔류양상을 조사하였고, 실온 및 냉장조건 하에서의 저장실험 및 세척에 따른 전류농약의 잔소량을 파악하여 생산단계부터, 출하, 저장, 소비단계까지의 잔류량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개발을 위한 자료로 이용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Dichlofluanid와 iprodione은 포장조건에서 반감일수가 기준량 2.2, 3.3일 이었으며, 배량은 3.5, 5.4일로 나타났다. 저장조건하에서의 약제별 반감기는 포장조건보다 잔류량의 감소속도가 느린 것으로 나타나 반감일수가 증가하였고, 세척방법에 의한 잔류농약의 감소량을 조사한 결과 세제 사용시의 평균제거율은 dichlofluanid는 73.7%, iprodione은 64.3%로 나타났고, tap-water 사용시에는 dichlofluanid 73.5%, iprodione 63.5%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작물의 생산단계에서 구한 합리적인 희귀식을 이용하여 잔류농약의 경시변화를 파악하고, 저장 및 세척과정을 거쳐 최종 소비단계에서의 잔류농약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었다.
We studied the residual patterns of two fungicides, dichlofluanid and iprodione, in cherry tomato greenhouse after applying with the recommended and double dose. Also, the degradation patterns during storage periods of up to ten days were compared between at room temperature (20℃) and at cold temperature (4℃). Removal rates of fungicides by washing with tap-water and detergent solution (0.1%, 0.2%) were measured. Half-lives of dichlofluanid and iprodione in greenhouse cherrytomato were 2.2~3.5 and 3.3~5.4 days, respectively. During the storage period, the residues were dissipated more slow. Removal rates were 62.8~80.3% by tap-water, 60.4~83.1% by 0.1% detergent solution, and 65.3~77.6% by 0.2% detergent solution. So, we can predict of terminal residues from cultivation period to marketing, storage and consum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