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클라미디아는 골반내 염증성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균 중의 하나이다. 클라미디아 감염시 많은 예에서 증상이 없거나, 경미하지만 감염 후 난관폐색, 불임증, 난관임신, 재발성 골반내 감염 등의 합병증으로 인하여 클라미디아 감염이 차지하는 임상적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클라미다아 감염의 이환율을 조사하고, 클라미디아 감염과 연관성이 있는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 : 2001년 5월부터 2002년 4월까지 대림성모병원 산부인과에 골반내 염증성 질환으로 진단받고 입원한 환자들과 외래에서 부인과적인 상용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문진과 이학적 검사, 임상적인 검사와 함께 클라미디아 검출을 위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실시하였다.
결과 : 클라미다아 감염의 이환률은 골반내 염증성 질환으로 입원한 환자에서는 20.6% (14/68)이었고, 부인과적 상용검사를 시행받은 외래 환자에서는 8.6% (51/593)이었다. 클라미디아 감염은 20대에서 가장 많았으며, 증상이 없었던 경우가 40% 가까이 되었다. 클라미디아 감염은 유산에 대한 기왕력이 없을 때보다 있을 때 증가하였으나, 출산과는 관계가 없었다. 감염부위로는 자궁 경부가 가장 많았으며, 다른 세균과의 혼합감염율은 43.1%였다. 58명에서는 내과적인 치료를, 6명에서는 외과적인 치료를, 1명에서는 복강경을 시행하였다. 치료 후 모든 환자들은 혈액 검사와 이학적 검사에서 정상으로 회복되었다.
결론 : C. trachomatis 감염은 성적으로 활발한 여성에서 유병율이 높을 뿐아니라 생식 및 임신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미약하거나 없으며, 진단이 어렵다는 점 등으로 인하여 통제하기 힘든 질병이다. 하지만 치료에 좋은 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이를 선별검사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는 것은 이환률 및 합병증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리라고 사료된다.
Objective : Chlamydia trachomatis is one of the most common causative microorganisms in pelvic inflammatory disease. The symptom of Chlamydia infection is nearly absent or weak in many cases, but its complication is clinically very important because of tubal obstruction, infertility, tubal pregnancy, and recurrent pelvic inflammatory disea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rat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lamydia trachomatis. Methods : From May, 2001 to April, 2002, in Daerim St. Mary`s Hospital, OB-Gyn department, the 68 inpatients of pelvic inflammatory diseases and 607 outpatients of routine gynecologic examination were studied on history taking, physical examination, laboratory test,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for the detection of Chlamydia trachomatis.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of Chlamydia trachomatis was 20.6% (14/68) in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nd 8.6% (51/593) in routine gynecologic examination. As regarding the age distribution of Chlamydia trachomatis positive group was the largest portion in the twenties, and symptom-free group was about 40%. Chlamydia infection was related to the history of artificial abortion,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ity. Most common site of infection was uterine cervix, and mixed infection rate with other bacteria was 43.1%. The treatments were given medically in 58 cases, surgically in 6 cases, and laparoscopy in 1 case were performed. Conclusion : Although the prevalence rate of Chlamydia infection is high in sexually active age group and Chlamydia infection has a serious bad effect on reproduction, the disease detection is difficult because symptom is weak or absent, but it reveals good cure rate. Therefore the screening and treatment of Chlamydia trachomatis are necessary to decrease the prevalence and prevention of com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