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굴인상을 표현하는 용어들을 사용하여 인상을 형성하는 차원들을 알아내고자 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1에서는 사람들의 얼굴인상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들을 가려내었다. 구체적으로 다른 연구들에서 얼굴인상을 표현하는데 사용한 용어들과 일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의 수집을 토대로 867개 용어들을 모은 다음, 이 용어들의 적절성과 사용빈도를 기준으로 202개 용어들을 가려냈다. 연구 2에서는 이 용어들을 축약한 대표적 용어들을 사용하여 얼굴인상의 지각에 기초가 되는 차원들을 알아냈다. 먼저 83명의 대학생 및 대학원생에게 202개 인상용어들을 서로 의미가 유사한 용어들끼리 한 범주로 분류한 자료를 군집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최종 단계에서 독립된 범주들을 잘 나타내는 57개 용어로 축약하였다. 다음으로 얼굴인상의 지각 차원들을 알아내고자 이 57개 용어들간 비연합치 행렬을 구하여 다차원분석하였다. 스트레스 수준, 설명변량 및 해석의 명료성을 기준으로 4차원 결과를 해석하였다. 차원들의 의미를 해석하기 위해서 먼저 각 차원의 좌표를 고려하여 차원들을 적절하게 설명할 수 있는 11개의 양극 척도들을 찾았다. 그런 다음 57개 용어들을 이 척도들에 대해서 별도로 87명의 대학생들에게 평정시켜서 이의 평균과 다차원 좌표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중다회귀분석하였다. 이 절차를 거쳐서 얻은 4차원은 차례대로 `순하다-사납다` 혹은 `인상이 좋다-인상이 나쁘다`(제 1차원), `이지적이다-맹하다` 혹은 `영리하다-우두하다`(제 2차원), `점잖다-경박하다`(제 3차원), 및 `여성스럽다-남자답다`(제 4차원)으로 해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 제한점 및 장래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attributes underlying facial impressions by using words that expressed impressions. In order to do that, we collected the words and selected appropriate words, and tried to find the relevant dimensions using MDS. Specifically, 822 words were collected from another studies and 45 words from participant`s response. These words were then screened to 202 on the basis of use frequency and appropriateness for words that expressed impressions. 8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classified them into 10 categories according to similarity of meaning. Using cluster analysis, 57 words that represent each cluster were selected. With distance data among 57 words, a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were performed. Interpreting the data as four dimensions was appropriate condsidering stress level, R^2 and easiness of inerpretation. The interpretation of these dimensions was guided by the data from 87 additional subjects who rated the 57 words on 11 bipolar scales. The first dimension was interpreted as `good-bad` or `submissive-fierce`, the second as `intelligent-dull`, the third as `gentle-frivolous/thoughtlessness`, the fourth as `womanly-manly`. Finally,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ssues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tudies were mentio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