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급성 슬개골 탈구 환자에서 탈구와 연관된 슬관절 병변의 평가와 함께 조기에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하여 분석하여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2월부터 2000년 1월까지 급성 슬개골 탈구로 조기에 수술적 치료한 11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슬개골 탈구의 과거력이 있거나 관절경 소견상 슬관절내 출혈이 없어 재발성 탈구가 의심 되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3개월 이었다. 술 전 단순방사선 전후면 및 30도 굴곡 측면사진과 Merchant 촬영을 하여 슬개골의 이상고위, 대퇴 활차의 이형성 (crossing sign), sulcus angle을 측정하였으며, 이학적 검사에서 Q-angle을 측정하여 탈구 유발인자를 평가하였으며, 수술 전 후에 congruence angle을 측정하였다. MRI 검사, 관절경 소견, 및 수술 소견에서 내측지대 손상 유무와 손상위치 골연골 손상 여부 및 슬관절내 동반 병변을 관찰하였다. 전 례에서 진단적 관절경을 시행 후, 내측지대봉합술 (5례), 내측지대 봉합술과 외측이완술 (3례), 내측지대 보강 및 중첩술 즉, 변형된 Madigan 술식 (3례)을 시행하여 최소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하였다.수술 후 임상적 결과는 Kujala score를 사용하여, 방사선학적 결과는 술 후 congruence angle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슬개골의 이상고위 7례 (63.6%), 대퇴활차 이형성 5례 (45.5%), 증가된 sulcus angle은 5례 (45.5%)에서 관찰되었으며, 20도 이상으로 증가된 Q-angle은 없었다. 전체 11례중 9례 (81.8 %)에서 한가지 이상의 슬개골 탈구 유발인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내측 슬개대퇴 인대손상은 대퇴부착부 (내전근 결절)에서 5례, 슬개골에 근접한 중간부위에서 4례, 이완된 경우가 2례이었다. 임상적 결과 평균 Kujala score는 91점 이었다.술 후 방사선 검사결과 congruence angle은 10례에서 정상범위로 회복되었고, 1례에서는 슬개골 아탈구 소견을 보였으며, 추시기간중 재탈구는 없었다. 결론: 급성 슬개골 탈구는 슬개골 이상고위, 대퇴활차 이형성, 증가된 sulcus angle이 동반된 경우와 연관성이 있고, 급성 슬개골 탈구의 조기 수술적 치료로 23개월의 추시에서 우수한 임상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Purpose: To analyze factors related with patellar dislocation and evaluate clinical results after early surgical treatment in acute patellar dislo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study was done in 11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due to acute patellar dislocation from February 1997 to January 2000. patients who had history of previous patella dislocation were excluded in this study. Th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23 months. Radiographs were antero-posterior, lateral at 30 degree of flexion, and Merchant view. We looked for of patella alta, trochlear dys-plasia, intraarticular loose body and measured sulcus angle, congruence angle, Q-angle. We checked the location of injured medial retinaculum and ostochondral lesions, and associated intraarticular lesions from MRI, arthrosopic and operative findings. We performed the 3 operative methods: Upon the completion of the arthroscopic evaluation, medial retinacular repair (5cases), medial retinacular repair and lateral release (3cases). augmented repair and plication of medial retinaculum ie, modified Madigan technique (3cases). Results: patella alta was present in 7cases (63.6%), trochlear dysplasia (crossing sign) in 5cases (45.5%), and increased sulcus angle in 5 cases (45.5%). one or more predisposing factors contributing to patella dislocation were seen in 9 of 11 cases (81.8%). Medial retinacular tear was present in the adductor tubercle in 5 cases and midportion (parapatellar tear) in 4 cases, and relaxed without tear in 2cases. The clinical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Kujala score was 91 points. The congruence angle became normal in 10 cases and patella subluxation was seen in 1 case postoperatively. Conclusions : Acute patellar dislocation was related in those cases with trochlear dysplasia and patella alta and increased sulcus angle. During the 23 months follow up preiods, Excellent clinical results were obtained with early surgical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