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임신 중 leptin은 체내 지방세포 뿐만 아니라 비 지방세포인 태반과 양막에서도 합성되어 양수와 제대 혈에서도 leptin이 검출되는 바, 제대 혈의 leptin 치는 태아의 체중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만삭 정상 혈압 임부 및 전자간증 임부의 혈장 및 제대 혈 leptin 치의 상호 연관성과 이들이 임부의 임신 중 체중변화, 체질량지수, 태아의 성별 및 출생체중 등에 미치는 영향을 판정하고자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방법 : 본원에 분만하기 위해 내원한 임부 중 임신 36주 이후에 분만한 정상 혈압 임부 20명과 전자 간증 임부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임부의 혈액은 입원 당시에 채취하였으며, 제대 혈은 태아 분만 직후 태반 만출 전에 채취하였다. 채취된 혈액은 2,500 rpm으로 원심 분리하여 혈장만을 검사 전까지 -70℃에 냉동 보관하였으며 human recombinant leptin을 이용한 radioimmnunoassay 방법과 gamma counter를 사용하여 leptin 치를 측정하였으며, 임부와 아기의 체중 및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 증가, 태반 무게 둥을 측정하였다.
결과 : 정상 혈압 임부와 전자간증 임부의 평균 혈장 leptin 치는 각각 16.16 ng/㎖ 및 17.09ng/㎖이었으며, 각 군의 평균 제대 혈 leptin 치는 7.11 ng/㎖ 및 8.55 ng/㎖로서 전자간증 임부에서 모두 높은 경향을 보였지만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다. 또한 키 군의 평균 혈장 및 제대 혈 leptin 치도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정상 혈압 임부에서 혈장 leptin 치는 분만 전 체중 (r^2=0.201. p=0.047)과 임부의 체질량지수 (r^2=0.307, p=0.011)차 상호연관성이 있었으며, 전자간증 임부에서는 임신 중 체중증가 (r^2=252, p=0.024)와 상호연관성이 있었다. 제대 혈 leptin 치는 정상 혈압 임부에서 아기의 출생체중 (r^2=0.360, p=0.005), 아기의 체질량지수 (r^=0.241, p=0.028) 및 태반 무게 (r^=0.311, p=0.011)와 상호 연관성이 있었으면, 전자간증 일부에서도 아기의 출생체중 (r^2=0.582, p=0.0001) 및 아기의 체질량지수 (r^2=0.533, p=0.0003)와 상호 연관성이 있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정상 혈압 임부와 전자간증 임부 모두에서 혈장 leptin 농도와 제대 혈 leptin농도사이 에는 상호 연관성이 없었다. 그러나 혈장 leptin 치는 정상 혈압 임부 및 전자간증 임부 모두에서 분만 전 체중이나 체질량지수, 임신 중 체중증가 등과 같은 일부의 지방 양과 연관성이 있었다. 제대 혈 leptin 치는 양군에서 모두 아기의 출생체중 및 아기의 체질량지수와 연관이 있어 임부의 혈장 leptin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태아성장을 반영하는 자료로 여겨진다.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s between maternal plasma and umbilical cord leptin concentrations and their effects on newborn birth weights, maternal body mass indices and fetal sex in term normotensive (NT) and preeclampsia (PE) women. Methods : Blood samples were obtained at delivery from 20 NT group and another 20 from PE group of at least 36 weeks of gestation. And the umbilical cord samples were also taken from their newborns at birth. Plasma leptin levels were determined in both groups using a human recombinant leptin 125-I radioimmunoassay. Results : Mean maternal plasma and umbilical cord leptin concentrations were 16.16+2.05 ng/ml and 7.11±1.01 ng/㎖ in NT group, 17.09±1.67 ng/㎖ and 8.55±6.63 ng/㎖ in PE group,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s among them. The differences of leptin concentrations in maternal plasma and umbilical cord according to baby sex were not significant in both NT and PE groups. Plasma leptin concentrations were related with maternal weight gain and BMI in NT group and with body weight in PE group. The BMI and birth weights of the neonat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umbilical cord leptin concentrations in both NT and PE groups. Conclusion : In this study,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maternal plasma and umbilical cord leptin concentrations in both NT and PE groups. But maternal plasma leptin concentrations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maternal body weight, BMI, and body weight changes during pregnancy in both NT and PE groups. There were also positive correlation among umbilical cord leptin concentrations, BMI and birth weights of the neonates of NT and PE groups term. Therefore umbilical cord leptin is considered to be the index of fetal birth we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