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SCOPUS
가토의 실험적 상악-비강누공의 개통에 미치는 Mitomycin 용액의 효과
The Effect of Topical Mitomycin-C on the Patency of Internal Nasal Ostium of the Experimental Antrorhinostomy in Rabbits
이규철(Kyu Chul Rhee),이태수(Tae Soo Lee)
UCI I410-ECN-0102-2009-510-00408039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점적형태의 mitomycin C가 가토의 상악비강문합술비측누공의 폐쇄방지효과가 있는가를 알아보고져 가토 42마리에 실험적 누낭비강문합술을 시행한 후 수술 후 5일간 Mitomycin C를 투여한 후 시기에 따른 누공의 직경과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처치후 8주에서 Mitomycin C 처치군에서 누공의 직경이 대조군에 비해 더 크게 유지되었다. 대조군에서는 섬유모세포의 활성도의 증가와 교원섬유가 증가된 소견을 보였으며 MMC 투여군에서는 섬유모세포 활성도의 저하와 퇴행성 변화를 나타냈다. 비점막상피세포의 섬모는 Mitomycin C군에서는 초기에는 섬모가 파괴되어 있었으나 8주에는 섬모가 재상된 것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mitomycin C점안액의 사용은 임상의 누낭비강문합술 특히 내시경적 술식후 성공률을 높이는 보조요법으로 효과가 있을 것이다.(한안지 40:299~311, 19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topical mitomycin C as an adjuvant therapeutic agent on prevention of internal nasal ostium obstruction in experimental rabbit dacryocystorhinostomy model. Forty-two rabbits received an osteotomy between maxillary antrum and nasal cavity. Topical mitomycin C solution had been instilled postoperatively for five days. The diameter of remaining ostium was measured and histopathologic study was performed. At 8 postoperative weeks, the ostial diameter of mitomycin C treated group was lar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Nasal mucosa of control group showed active fibroblast and abundunt collagen fibers. But nasal mucosa of MMC group showed degenerated fibroblast and scanty collagen fiber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pical MMC eyedrop may be used as an effective adjuvant in preventing fibrous obstruction of internal nasal ostium in dacryocystorhinostomy(J Korean Ophthalmol Soc 40:299~311, 1999).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