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과 생물 교과서, 대학교 화학 및 생물 교재를 중심으로 삼투압과 반투막의 개념에 대한 설명 유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삼투압에 개념에 관련된 설명 유형은 대략 4개 정도의 유형이 있었으며, 반투막에 관한 설명 유형은 3가지 정도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설명 유형 사이에는 시각의 차이가 있어서 같은 개념이 전혀 다른 현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설명 유형의 차이는 학생들의 이해에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교과서 구성에서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lanation of the concepts related to osmotic pressure and semipermeable membrane that were represented in chemistry and biology textbooks of high school and general course of college. There were 4 types of explanation in osmotic pressure and 3 types of semipermeable membrane concep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concepts with different meaning because there are different viewpoints on the explanations of the concepts. We must consider the various types of explanation when we design science textbooks because these confusions disturb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