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채소류와 과실류 중의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함량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in Vegetables and Fruits
신정혜(Jung Hye Shin),강민정(Min Jung Kang),양승미(Seung Mi Yang),김형식(Hyung Sik Kim),성낙주(Nak Ju Sung)
UCI I410-ECN-0102-2009-510-004079295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의 주요 급원인 각종 채소류 및 과실류에서 이들의 분포를 조사하고자 엽채류 23종, 과채류 4종, 근채류 4종, 향신채소류 7종 및 과실류 15종의 질산염, 아질산염을 Ion-Chromatography(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엽채류에서 아질산염은 총 10종에서 검출 되었으며, 재래종 상치가 평균 0.6㎎/㎏으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개량종 상치가 평균 349.9 ㎎/㎏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다. 질산염은 취나물이 평균 578.3 ㎎/㎏으로 그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이 겨자잎(415.7㎎/㎏), 청경채(348.6㎎/㎏)의 순이었다. 과채류 중 아질산염은 본 실험의 조건에서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질산염은 애호박이 평균 86.2㎎/㎏으로 가장 높은 함량이었으며 오이가 0.6∼24.7 ㎎/㎏(평균 5.5 ㎎/㎏)으로 가장 낮았으나모든 시료가 개체에 따라 함량의 차이가 컸다. 근채류에서도 아질산염은 검출되지 않았고 질산염은 무가 0.2∼580.0㎎/㎏으로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고 향신채소류는 질산염의 함량이 대체로 낮은 반면 마늘을 제외한 전 시료에서 아질산염이 불검출에서 29.8㎎/㎏까지 검출되었다. 파의 경우 아질산염은 잔파가 더 높은 함량이었으나 질산염은 대파가 평균 4.3㎎/㎏으로 잔파에 비해 약 6배 더 높은 함량이었고, 고추에서도 아질산염은 적고추가 더 높은 함량이었으나 질산염은 청고추가 약 7배나 더 높았다. 과실류의 질산염은 사과가 평균 0.5㎎/㎏으로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자두가 1.6∼206.2㎎/㎏, 평균 76.6 ㎎/㎏으로 다른 시료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이었다.

A total of 53 vegetables and fruits, consisting of 23 leaf vegeatables, 4 fruits vegetables, 4 edible roots, 7 spice vegetables and 15 fruits were analyzed for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by Ion chromatography. Nitrite was detected 10 of 23 kinds of leaf vegetables, which was dominant in lettuce by average 349.9 ㎎/㎏. Nitrate contents of leaf vegetables were average 578.3 ㎎/㎏, 415.7 ㎎/㎏, 348.6 ㎎/㎏ in wild plant, mustard leaf and chinese vegetable, respectively. Nitrite was not detected in fruits vegetables and rootcrops but the nitrate contents were abundant and the highest in squash(average, 86.2 ㎎/㎏) and radish(Average, 297.5 ㎎/㎏), respectively. In spice vegetables, nitrite contents were from 0 to 29.8 ㎎/㎏, but not detected in garlic. In welsh onion, its nitrite were higher in small type than large type, while nitrate contents were higher 3 times in the latter. Nitrate contents of fruits were lower in apple(average, 0.5 ㎎/㎏) and higher in plum(Average, 76.6 ㎎/㎏) than other sampl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