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들간에 발생하는 또래 갈등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얻는 것에 1차적인 목적을 두고, 아동의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른 또래 갈등의 빈도, 갈등 지속 시간, 갈등 쟁점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또래 지위와 친구 관계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는 데에 2차적인 연구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서울 및 수도권 초등학교 두 곳에서 148쌍의 4학년 아동을 성, 또래 지위, 친구 관계에 따라 선정하여 짝을 지워 관찰 단위를 구성하였다. 짝지워진 두 명의 아동이 제한된 공간에서 도미노 게임을 하는 동안 발생한 갈등을 관찰하는 실험실 관찰법을 사용하여 또래 갈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또래 갈등은 친구나 급우간의 상호작용에서 비교적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갈등 발생 빈도는 아동의 또래 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 인기-보통아쌍보다 거부-보통아쌍에서 갈등이 더 자주 발생하였다. 갈등 발생 빈도와 갈등 지속 시간에서 아동의 성과 친구 관계에 따라 유의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서, 여아의 경우 급우쌍보다 친구쌍에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더 빨리 종결되었다. 이에 반해 남아의 경우에는 친구쌍과 급우쌍간에 갈등 발생 빈도는 비슷하였지만, 급우간의 갈등보다 친구간의 갈등이 더 오래 지속되었다. 또래 갈등은 주로 생각에 대한 불일치와 제안이나 도움의 거부로 인해 발생하였다. 갈등 쟁점은 아동의 또래 지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서, 인기-보통아쌍보다 거부-보통아쌍에서 권리 주장하기로 인한 갈등이 더 많이 발생하였다.
Frequencies, duration, and issues of peer conflicts were observed to investigate whether those characteristics of peer conflicts were different by child`s sex. peer status, and friendship. One hundred and forty eight dyads in 4th grade were selected by child`s sex, peer status, and friendship. Each dyad was placed in a small laboratory to play a Domino game. The dyad`s interactions were videotaped, and peer conflict episodes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duration, and issues of the conflicts. Peer conflicts occurred rather frequently in dyadic interactions between school-aged children. Frequencies of the conflic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peer status. Conflicts occurred more frequently in rejected-average pairs than popular-average pairs. Frequencies and duration of the conflicts differed by the child`s sex and friendship. For girls, conflicts occurred more frequently but ended more quickly with friends than conflicts occurred with classmates. However, for boys, conflicts occurred with friends lasted longer than conflicts with classmates, even though frequencies of conflicts with classmates were similar to conflicts with frie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