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는 학자들의 연구와 실무가들의 의견을 종합적 ·체계적으로 반영하여 정립된 것이 아니라, 조세정책적 측면 및 실무적인 편의에 부응하기 위해 표류해 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하여 세법 개정시마다 특정 항목에 대한 企業會計 優先適用 또는 稅務會計 優先適用을 번복하여 규정함으로써, 많은 혼란을 야기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問題點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그 문제점에 대한 解決方案으로 양자의 관계정립을 통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우리나라의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관계인 결산확정주의는 최근에 들어 세법에 의한 기업회계 왜곡현상, 課稅所得의 浸蝕化현상, 稅務法律主義 위배, 기업회계의 불완전성, 국제회계기준과의 부조화문제 둥 많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그리하여 독일 · 일본 ·우리나라와 같은 대륙법체계를 바탕으로 한 국가들에 있어서 企業會計와 稅務會計의 分離가 중요한 논의의 대상이 되고있다. 단기적으로는 현상유지를 통한 실무적인 편의가 더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논리적인 우수성과 국제회계기준도입으로 인한 불가피성을 논거로 하여 결산확정주의의 폐지를 주장하였다. 그리하여 구체적인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분리방안으로서 1) 기업회계를 무시하고 세무상 분개를 통해 稅務財務諸表를 작성하는 방법, 2) 세무조정을 거치지 않는 稅務損益計算書의 도입방법, 3) 決算調整事項을 모두 申告調整事項으로 전환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론상으로는 세무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것이 기업회계와 세무회계의 고유논리에 가장 부합하는 방안이 되겠으나, 복수의 장부체계를 유지함에 따른 비용이 납세순응의 문제를 유발하리라고 생각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결산조정사항을 모두 신고조정사항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결산조정사항을 모두 신고조정사항으로 전환할 경우, 자의적인과세소득의 변경문제발생이 예상되므로, 稅務監査制度의 强化를 위시한 세무행정의 개선, 稅務犯處罰法의 實效性確保, 加算稅의 대폭강화 등의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방법을 통하여 기업회계와 세무회계는 각각 고유의 목적에 충실할 수 있게 되어, 양 회계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relationship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in Korea is not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synthetic and systematic opinions of relevant scholars and those occupied in accounting practices. It is not exaggerated to say that the relationship in Korea is established mainly by meting the needs of the actual affairs and tax polic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t at the problems coming from the relationship of finim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and to present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The principle of "linkage", the relationship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in Korea, has caused a lot of problems such as the distortion of financial accounting by the tax lav:, the erosion of taxable income, the infringement of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law, and disharmony with IAS and so on. So, nations that are based on the continent laws iiki> German, Japan and Korea deal seriously with the problem of the separation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I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principles of "linkage" should be abolished on the basis of the excellence of logics and the inevitable introduction of IAS on the long-term basis, though the principle may be more important in terms of the practical convenience on the short-term basis. I have come up with the following thre method of the separation of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1) a method of drawing up tax balance shets through tax journalizing in disregard of financial accounting, 2) a method of introducing taxable income statements without going through tax adjustment, 3) a method of converting settlement adjustment into declaration adjustment. In principle, drawing up tax balance sheets may be one of the surest ways of separating tax accounting from financial accounting, but the method is likely to make the problem of tax compliance in terms of costs involving the preservation of multiple account books. This study has suggested a method of converting settlement adjustment into declaration adjustment. In this case, the problem of changing taxable income arbitrarily is expected to happen, this problem should be solved by such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as the reinforcement of the tax audit system, the guarantee of the effectiveness of the tax offenses punishment act and the reinforcement of additional tax. By adoptmg this method, financial accounting and tax accounting can serve its own purpose, and also can at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ach accoun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