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마우스의 공간인 지능에 대한 홍삼의 효과
Effects of Red Ginseng on Spatial Memory of Mice in Morris Water Maze
진승하 (Sung Ha Jin)
UCI I410-ECN-0102-2009-480-00495233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홍삼 부위별 원료배합에 의해 제조된 홍삼 총조사포닌과 엑기스를 투여한 마우스의 공간인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Morris water maze를 이용하여 조사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간인지능에 미치는 홍삼 총조사포닌 및 엑기스의 급성투여 효과 ①총조사포닌 No. 1에서는 용량의존적으로 훈련 과정에서 획득한 platform이 위치한 지역에서의 유영시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총조사포닌 No. 2(50 ㎎/㎏,bw)의 경우는 그 지역에서의 유영시간이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로써 총조사포닌 No. 1은 platform이 위치한 지역을 기억하는 공간인지능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이 관찰되었다. ②엑기스 No. 1과 No. 2는 용량의존적으로 목표지점의 공간을 인지하는 능력이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으며 특히 각각의 200 ㎎/㎏,bw 투여 용량에서는 유의한 공간인지능력이 향상되었다. 2. 공간인지능에 미치는 홍삼 엑기스의 아급성투여 효과 엑기스 No. 1의 100㎎/㎏,bw에서 platform 지역에서의 대조군 대비 평균적 유영시간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No. 3 투여군은 대조군 대비 뚜렷한 변화가 없었으며 특히 엑기스 No. 2 200 ㎎/㎏,bw 투여군의 경우에는 대조군에 비해 오히려 platform 지역에서의 유영시간이 단축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홍삼동체의 상대적 배합비율이 높은 총조사포닌과 엑기스가 미삼비율이 높은 시료보다, 기억유지 및 공간인지 기억력의 상승효과가 우수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로부터 홍삼 총조사포닌과 엑기스는 동물의 학습 및 기억활동에 관여하는 대뇌피질과 해마의 아세칠콜린 신경계 또는 글루타민산 신경계에 대한 직간접적인 작용 가능성을 시사해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and extract on spatial working memory in mice using Morris water maze. Two kinds of red ginseng saponin (No. 1 and No. 2) and three kinds of red ginseng extract (No. 1, No. 2 and No. 3) to have different PD/PT ratio (No. 1=1.24, No. 2=1.47 No. 3=2.41) were prepared by mixing the different parts of red ginseng in different ratio. In acute administration of total saponin No. 1 or No. 2, escape time to reach to a hidden platform in a fixed location for training tria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and swimming time in the quadrant that had contained the platform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cute treatment of extract No.1 or No. 2, swimming time in the platformless quadrant was increased dose dependently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especially at dose of 200 ㎎/㎏,bw swimming tim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Oral treatment of extract No. 1 (100 ㎎/㎏, bw) for 7 days produced an increase of swimming time in the platformless quadrant but a decrease of swimming time in No. 3-treated group (100 ㎎/㎏, bw). These results show that red ginseng may improve spatial discrimination learning and spatial working memory of mic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