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인삼 sesquiterpene계 성분을 간편하게 분리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인삼 분말을 물과 에테르/펜탄 대신 30% 메탄올과 n-헥산으로 동시증류추출(SDE)하거나, 70℃로 유지되는 U자관에 인삼분말을 넣고 질소개스에 의해 밀려 나오는 휘발성 성분을 C_1, Sep-Pak^k으로 포집한 후 n-헥산으로 용출하였다. 위에서 얻은 두 정유성분 추출물을 상법에 의해 조제한 정유성분 추출물과 TLC 및 GC/MS로 분석, 비교한 결과 새로이 확립한 두 방법에 의해 분리한 인삼의 정유중에는 인삼에서 알려진 여러 정유성분 중 β-panasinsene, α-neoclovene, α-humulene 그리고 alloaromadendrene 등 분자량 204의 30여종 sesquiterpene계 성분이 81.1-84.0%로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loteratme search 및 일부 표준품을 사용한 비교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New simple methods for the isolation of sesquiterpenes from Panax ginseng were developed. First, volatile compounds were isolated by simultaneou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SDE) with 30% methanol and n-hexane instead of water and ethyl ether/pentane (1:1). Secondly, head space volatiles in U-shaped tube at 70℃ were passed through C_1, Sep-Pak^k by nitrogen gas streaming and the adsorbed volatiles were eluted by n-hexane. TLC analysis showed that the volatile concentrates consisted mainly of terpenes when colored by vanillin-sulfuric acid. GC/MS data revealed that approximately 30 sesquiterpenes of molecular weight 204 occupied 81.1% or more of the volatile concentrates isolated by those two newly developed methods. Among these, alloaromadendrene, germacrene B, isocaryophyllene, α-neoclovene, γ-muurolene, β-panasinsene, and α-humulene were identified as being major sesquiterpenes by authentic samples or literatme 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