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적으로 인삼은 여러가지 대사관련 질환뿐만 아니라 불안신경증, 우울증이나 건망증 및 기억손상과 같은 정신질환에 임상적으로 활용되어 왔다. 우리는 이와 같이 중추신경계와 관련된 기억 학습에 대한 인삼의 효능을 알아 보고자 홍삼을 부위별로 원료를 배합하여 diol계와 triol계 사포닌의 비율이 각기 다른 조사포닌을 사용하여 정상 및 기억손상 유도 마우스의 기억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사용된 홍삼 총조사포닌의 PD/PL 비율은 1.24(No. 1), 1.47(No. 2)이었다. 2. 홍삼 총조사포닌을 ICR 마우스에 급성으로 복강 투여시 No. 1과 No. 2 모두 50㎎/㎏의 농도에서 그리고 ddy 마우스에 투여시에는 No. 1(100㎎/㎏, bw)과 No. 2(50㎎/㎏, bw)가 각기 다른 농도에서 latency time이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3. 홍삼 총조사포닌을 7일 동안 복강투여시 No. 1과 No. 2 모두 50㎎/㎏의 농도에서 latency time이 연장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그러나 100㎎/㎏의 농도에서는 대조군과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Scopolamine에 의한 기억손상 유도 동물에서 홍삼 총조사포닌 No. 1은 50㎎/㎏의 농도에서 그리고 No. 2는 100㎎/㎏의 농도에서 유의한 latency time의 연장효과를 보여 acquisition 단계에서 손상된 기억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5. 홍삼 총조사포닌과 추출물은 저용량에서는 흥분적, 고용량에서는 진정적인 행동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여진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 of red ginseng total saponin and extract on memory in mice using one trial step-down type passive avoidance method. Red ginseng total saponins (No. 1:PD/PT ratio=1.24, No. 2:PD/PT ratio=1.47) were prepared with the different mixing ratio by using the parts of red ginseng. In single administration of total saponin No. 1 (100㎎/㎏, bw) or No. 2 (50㎎/㎏, bw) increased the latency time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atment of total saponin No. 1 (50㎎/㎏, bw) for 10 days produced an increase of latency time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copolamine-induced memory deficient mice total saponin No. 1 (50㎎/㎏, bw) and No. 2 (100㎎/㎏, bw) significantly improved the latency time. These results show that red ginseng total saponin may improve the memory of scopolamine-induced memory deficient mice and have nootropic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