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고콜레스테를 조건으로 배양한 Hep G2 세포의 콜레스테를 함량변동과 Acyl CoA : Cholesterol Acyltransferase 의 활성에 미치는 인삼성분의 영향
Effect of Ginseng Components on Content of Cholesterol and Activity of Acyl CoA : Cholesterol Acyltransferase in Hep G2 Cells Cultured in Cholesterol Rich Medium
박성출(Song Chul Park),구자현(Ja Hyun Koo),노연희(Yun Hee Noh)
UCI I410-ECN-0102-2009-480-00495449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인삼 성분의 혈청 콜레스테롤 감소효과에 대한 기전을 밝히기 위하여 콜레스테롤이 10㎍/㎖ 첨가된 무혈청 RPMI1640배지에 총사포닌, ginsenoside-Rb_1, -Rb_2 및 비사포닌분획(에테르추출분획)을 각각 20 2∼10 6%되게 가한 실험군, 인삼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대조군, 그리고 콜레스테롤과 인삼성분이 첨가되지 않은 정상군의 배지조건으로 Hep G2 세포를 배양하였다. 각 군의 세포내 총콜레스테롤을 정량한 결과 총사포닌과 두 ginsenoside 처리군에서는 최대 51%까지 콜레스테롤이 감소한 반면 대조군에선는 137%로 증가하였으며 비사포닌분획 처리군은 10 ^2∼10 ^4% 군에서만 대조군에 비하여 콜레스테롤이 감소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세포낸 콜레스테롤의 감소와 간 세포의 acyl CoA : cholesterol acyl trasferase (ACAT) 활성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1-^14C]oleic acid를 기질로 하여 각 군에서 가장 높은 콜레스테롤 감소 효과를 나타낸 농도 조건으로 Hep G2 세포를 배양한 후 ACAT의 활성도를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서의 활성은 정상군에 비하여 60% 정도 증가하였으나 실험군에서는 대조군보다 140내지 230%의 활성 증가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인삼 성분에 의한 혈청 콜레스테롤의 감소효과는 간세포에서의 ACAT활성의 증가로 인한 콜레스테롤 대사의 증진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A human hepatoma cell line, Hep G2,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serum cholesterol reduction by ginseng total saponin, ginsenoside-Rb_1, -Rb_2, and nonsaponin fraction (ether extraction). Hep G2 cells were incubated in 10㎍/㎖ of cholesterol containing serum free-ROM11640 medium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ginseng components. The amounts fo cholesterol in Hep G2 cells were decreased to maximum 51% in total saponin or two ginsenoside-treated groups while there was 137% increase in cholesterol level of control group as compared with that of normal group. Nonsponin groups did not show the same effect. In order to elucidate the observed changes in the amount of cholesterol, the activity of acy1 CoA : cholesterol acyltransferase (ACAT) in groups showing remarkable reduction in cholesterol amount, i.e., total saponin 10 ^6%, ginsenoside-Rb_1 10 ^4%, ginsenoside-Rb_2 10 ^3%, and nonsaponin fraction 10^-4%, was assayed using [1-^14C]oleic acid as enzyme substrate. The activity of ACAT was increased in all groups tested as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except for nonsaponin group cultured in water soluble cholesterol containing medium. The serum cholesterol lowering effects of ginseng components can partially be attributed to the increased hepatocellular ACAT activity.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