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두(Glycine max)를 10^-4% 인삼 사포닌 용액에 24시간 담근 후 발아시켰을 때와 순수한 물에 24시간 담근 후 발아시켰을 때의 몇 가지 효소활성의 변동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인삼 사포닌 용액(10^-4%)에 담근 콩(시험군)은 대조군(순순한 물에 담근 콩)에 비해 성장 길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무게는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2일, 3일째에 각각 16%, 15% 증가하였다. 전 당량은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언제나 많았고, free sugar의 양은 성장에 따라 시험군과 대조군 모두 감소하지만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언제나 많았으며 녹말의 함량도 높았다. 저장 지질을 지방산과 glycerol로 분해하는 lipase의 활성은 시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2일, 3일, 4일째에 각각 36%, 52%, 23% 증가하였다. Glyoxylate회로의 주요 효소인 isocitrate lyase는 3일째에 시험군의 활성은 대조군의 1.5배로 가장 큰 활성차이를 나타내었으며 succinate dehydrogenase는 4일째에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45% 증가하였고 malate dehydrogenase의 활성도 3일째에 시험군이 대조군보다 약 30%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험 결과는 인삼 사포닌이 여러가지 효소를 비특이적으로 활성화한다는 것을 재확인하는 것이며 이와 같은 인삼 사포닌의 비특이적 효소 활성화 효과가 콩의 발아에 관여하는 효소들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지방을 이용하여 당을 합성하는 속도가 촉진되어 성장이 빨라진 것으로 해석된다.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activities of isocitrate lyase, malate synthase, succinate dehydrogenase, malate dehydrogenase and lipase have been investigated at the early phase of germinating soy-bean sprout and found that all the above enzymes were stimulated when the bean was rinsed for 24 hours with 10^-4% saponin solution. The length of the saponin treated group was not lon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the weight of the former was heavier(15%) than the latter. Total sugar content of test group was always much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ginseng saponin might stimulate several enzymes of Soybean sprout during germination resulting in rapid growth of the Soybean spr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