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KCI 후보 SCOPUS
상수리나무림의 토양호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il Respiration in a Quercus acutissima Forest
이윤영(Yoon Young Lee),문형태(Hyeong Tae Mun)
UCI I410-ECN-0102-2009-470-00496701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상수리나무림에서 교란이 가해지지 않은 대조구(Con), 그리고 인위적으로 만든 숲톰(Gap)과 낙엽충제거지역(Lr) 두 곳을 실험구로 설정하여 토양호흡과 호흡에 영향을 주는 토양온도, 수분, 유기물함량을 조사하였다. Con, Gap, Lr의 토양호흡률은 7월에 가장 높았으며, 이 때 각각의 평균 토양호흡률은 15.6±0.9, 11.2±1.4. 7.7±1.3 CO_2μ㏖·m^-2·s^-1로 Con에 비해 Gap과 Lr에서 28.6%와 50.6% 낮았다. Con, Gap, Lr에서 동절기에는 토양호흡률이 각각 0.5±0.0, 0.4±0.1, 0.3±0.0 CO_2 μ㏖·m^-2·s^-1로 지소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Con, Gap, Lr에서 조사기간의 평균 토양호흡률은 각각 5.0±4.7, 4.3±3.5,. 2.8±2.2 CO_2μ㏖·m^-2·s^-1로 지소간 유의한 차이(P<0.01)가 있었다. Gap과 Lr은 Con에 비해 각각 24%, 44% 감소되었다. 토양으로부터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연간 CO_2의 양은 Con, Gap, Lr에서 각각 6.86, 5.84, 3.81 CO_2㎏·m^-2·yr^-1이었다 (P<0.01). Gap과 Lr은 Con에 비해 각각 14.8, 44.5% 감소되었다. 교란의 정도와 관계없이 토양호흡률은 토양온도와 높은 상곤관계가 있었다. 낙엽층은 토양생물의 에너지원이 되고 안정한 서식처를 제공하기 때문에 토양호흡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Soil respiration and some environmental factors which affect soil respiration were studied in an oak forest, Kongju, Korea. Soil respiration was measured at midday of the 15th and 30th day at every month in control (Con), artificial forest gap (Gap) and litter removed area (Lr) with portable CO_2 Analyzer equippted soil respiration chamber. In July, maximum soil respiration in Con, Gap and Lr was 15.6, 11.2 and 7.7 CO_2 μ㏖·m^-2·s^-1, respectively. Respiration in Gap and Lr decreased by 28.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Con. Annual amount of soil CO_2 evolution from Con, Gap and Lr was 6.86, 5.84, 3.81 ㎏·m^-2·yr^-1, respectively. Annual amount of CO_2 evolution in Gap and Lr decreased by 14.8% and 44.5%,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at in Con. Soil respiration rates exponentially increased with temperature. Temperature of soil surface and at 5 ㎝ depth was strongly related to soil respiration rates in Con (r^2=0.87, 0.93), Gap (r^2=0.81, 0.88) and Lr (r^2=0.89).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