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SCOPUS
남산 생태계 조사 : 남산공원 내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 군락의 동태 및 종간 경쟁의 추정
On the Population Dynamics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Disporum smilacinum and D. viridescens ( Liliaceae ) in Mt. Nam Park
민병미(Byeong Mee Min)
UCI I410-ECN-0102-2009-470-00496835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남산공원의 생태학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초본식생의 대표적 식물인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를 대상으로 현재 개체군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환경변화에 따른 이들 개체군의 동태와 종간 경쟁을 추정 및 예측하고자 하였다. 두 개체군에서 토양환경 즉, 낙엽층의 두께, 토양함수량, 유기물함량 및 토성을 조사한 결과 애기나리개체군의 토양 특성은 큰애기나리군락의 것에 비하여 낙엽층이 얇고, 토양함수량이 적으며, 토성이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애기나리가 환경에 대한 내성의 폭이 넓어 큰애기나리보다 먼저 군락을 형성함으로써 현재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큰애기나리는 환경이 유리하게 되면 그 뒤를 이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애기나리 집중반 내에서 주변부로부터 중앙부로 이행할수록 단위면적당 밀도가 증가하였으며 각 기관의 무게가 증가하였다. 그러나 개체당 지하경의길이와 견량은 그 반대이었다. 따라서 집중반 주변부의 개체는 중앙부의 것보다 길고 강한 지하경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집중반이 주변으로 증가하는데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해석되었다. 인접한 지역에서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 개체군의 공간분포를 조사한 결과 전자는 집중분포를, 후자는 무작위 혹은 규칙분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애기나리군락은 밀도와 무관하게 개체수가 증가하지만 큰애기나리는 밀도의존적인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의 크기별 빈도 본포는 대략적으로 정규분포에 따르지만 건물량을 기준으로 한 빈도 분포는 positive skewness를, 엽수에 의한 것은 negative skewness를 나타내었다. 한편, 토양표면으로부터 지하경의 깊이는 애기나리보다 큰애기나리의것이 2 배 깊게 위치하고 있었다 .단위면적당 지하경의 수는 두 개체군에서 거의 유사하였지만 지하경의 길이와 건물량은 큰애기나리군락에서 각각 2배 및 4 배 길거나 많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 큰애기나리군락의 집중반 폭은 매년 약 60 ㎝, 애기나리의 것은 약 30 ㎝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큰애기나리군락은 애기나리의 것에 비하여 집중반의 증가 속도가 약 2 배로 추정되었다. 앞으로 남산공원의 환경변화에 애기나리 및 큰애기나리군락은 3가지 형태로 전개될 것으로 추정되었다. 첫째, 인간간섭이 없고 토양의 수분이 현재 보다 많아지면 애기나리 개체군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이에 따라 큰애기나리 역시 빠른 속도로 증가할 것이다. 둘째, 인간간섭이나 토양수분이 현재와 유사할 경우 애기나리 집중반의 증가속도는 매우 느리거나, 증가와 쇠퇴가 유사하여 외견상 정지할 수도 있다. 셋째, 인간간섭이 심해지고 토양이 건조하게 되면 애기나리와 큰애기나리 개체군은 서서히 없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To clarify the ecological properties, and to predict change of understory vegetation of Mt. Nam Park, population dynamics and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D. smilacinum and D. viridescens, which grow in understory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nd pseudo-annuals, were studied from May 20 to May 30 1998. The depth of litter layer, soil moisture content, soil organic matter and soil texture were surveyed in 18 populations (15 D. smilacinum populations and 3 D. viridescens populations). Mean litter layer of D. smilacinum population was thinner than that of D. viridescens population. The contents of soil moisture and organic matter of D. smilacinum population were lower than that of D. viridescens population. The D. smilacinum growed in broad range of soil texture but D. viridescens in loamy soil. Because D. smilacinum could tolerate more broad range of sol moisture and soil texture than D. viridescens, the former covered the herb layer in earlier stage and the latter introduced in later stage when rhizome could grow easily. The numbers of individual in two marginal parts were maller than that in center in same D. smilacinum patch. And the total numbers of individuals grown in (10 × 10) ㎝ were from 0 to 12. The rhizome (subterranean runner) weight, rhizome length, root weight, shoot weight, leaf weight and leaf number per subquadrat (cell) increased along the number of individual, that is, increased from marginal part to center. But rhizome weight and rhizome length per individual were vice versa. Therefore, the individuals in marginal part reproduced longer and stronger asexual propagules than that in center. The distribution pattern of D. smilacinum was contageous and that of D. viridescens was random or regular. Therefore, population growth of former was independent on density and that of latter was dependent on density. The distributions of size-class showed normal curves in two population, but the curves based on data of total dry weight showed positive skewnes and those of leaf number showed negative skewnes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CC) values between the properties of each organ were high in two population and significnat at 0.1% level. The CC values of D. viridescens were higher of the two. Therefore, the former allocated the energy to each organ stabel. The rhizome depth of D. viridescens was 2 times deeper than that of D. smilacinum. And rhizome length and weight of D. viridescens were longer (2 times) or heavier (4 times) than those of D. smilacinum. The patch size of D. viridescens increased 60 ㎝ per year and that of D. smilacinum 30 ㎝. On this results, the intrinsic increase velocity of D. viridescens patch was 2 times faster than that of D. smilacinum, therefore, on the competition, the former had an advantage over D. smilacinum. The reason why D. viridescens defeated D. smilacinum resulted from that the leaf area of former was 4 times broader than that of latter. In Mt. Nam Park, it was thought that two Disporum population would change with the 3 types of environmental change as followings. First, no human impact and increase of soil moisture content resulted in increase of D. viridescens population. Second, mild human impact and similar condition of soil moisture content resulted in slow increase or no changes of D. smlacinum and D. viridescens population. Third, severe human impact and dry condition resulted in decrease or vanishment of two Disporum population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