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67
216.73.216.167
close menu
SCOPUS
초식성 곤충유충과 선호 식이식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Herbivorus Insect Larvae and Their Preferring Foodplant
민병미(Byeong Mee Min)
UCI I410-ECN-0102-2009-470-004966758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數 種 목본식물의 樹種과 초식성 곤충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4년 4월부터 1996년 5월까지 경기도 성남시 남한산성 구역 내 삼림에서 이 지역의 주요 수종별 서식하는 곤충 유충을 조사하였다. 3년간 11과 18종의 목본식물에서 조사된 초식성 곤충 유충은 총 62종류이었다. 유충은 식물의 개엽이 시작되는 4월 중순부터 관찰되기 시작하여 비엽면적의 값이 가장 큰 5월 7일경 가장 많은 종류가 나타나고 이후로는 잎의 생장완료와 함께 점차 감소하여 6월 중순부터는 3∼4종류만이 조사되었다. 한편 매년 같은 기간에 활동하는 초식성 곤충의 종류는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부분의 초식성 곤충은 범식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11과의 목본식물 중 참나무과, 느티나무과, 장미과 등 8과의 식물은 다양한 종류의 초식곤충에게 피식되었지만, 노박덩굴과의 회나무속, 녹나무과의 생강나무, 노린재나무과의 노린재나무는 주로 특정한 1종류에게만 피식되었다. Erannis sp., Calospolos sp., Phigalia sp. 등은 다양한 식이식물을 가지고 있지만 Iliberis sp.는 장미과, Pryeria sp.는 회나무속, Chalocosia sp.는 노린재나무, 미동정 1종류는 생강나무만을 먹이로 이용하여 방어기작-역방어기작의 관계를 규명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axa of the herbivorus insect larvae and their foodplant species were surveyed in a temperate forest of Namhansansung Area, Sungnam City, Kyonggi Province, in 1994-1996 growing season. Sixty two taxa of insect larvse fed on leaves of 18 woody species in 11 families during three growing season. Larvae began to be detected from the mid-April when the leafing time began. The number of larvae taxa reached to the maximum value(32 taxa) early in May, 1994. It was the time that the value of specific leaf area reached to the maximum. It decreased up to 3∼4 taxa in the mid-June. Taxa of insect larvae were different year by year even in the same season. Most of larvae fed on various plant species, suggesting that they were generalists or polyphagous species. Fagaceae, Betulaceae, Ulmaceae, Rosaceae, Aceraceae, Ericaceae, Oleaceae and Styracaceae were fed on by many taxa of insect larvae, while Euonymus spp.(Celastraceae), Lindera obtusiloba(Lauraceae) and Symplocos chinensis for. pilosa(Symplocaceae) were mainly fed on by a few taxon. Erannis, Calospilos and Phigalia were observed to feed on various specics, but Illiberis, Pryeria and Chalocosia fed on only Rosaceae, Euonymus spp.(Cerastraceae) and Symplocos chinensi for. pilosa(Symplocaceae), respectively. An unidentified larva was observed only on Lindera obtusiloba (Lauracea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