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이 파괴된 지역을 중심으로 그 분포를 확대해 가고 있는 덩굴식물인 칡(Pueraria thunbergiana)을 재료로 1995년과 1996년의 여름철 4일을 택해 환경요인 및 식물 수분상태의 일변화를 측정하고 그 중 맑은 날 3일을 선택하여 해석을 실시하였다. 토양 수분이 충분한 8월 15일은 측정일 중에서 가장 높은 광량을 나타내었으나 기온이 8월 2일보다 낮았으며, 아침 일사량의 증가와 함께 높은 기공전도도와 높은 증산 속도를 유지하였고, 이러한 높은 증산 속도에도 불구하고 잎의 수분포텐셜이 -0.47 MPa로 높게 유지되었다. 또한 낮 동안 저하한 잎의 수분포텐셜도 오후 기공전도도의 감소와 함께 회복하였다. 한편, 비온 후 6일째 되는 8월 3일은 오전의 이른 시각에는 광량의 증가에 따라 높은 기공전도도와 높은 증산 속도를 나타내었으나 10시 이후에는 8월 15일에 비해 낮은 기공전도도와 증산을 나타내었다. 또한 낮 동안 수분포텐셜이 크게 저하하여 -1.08 MPa까지 감소하였으며, 저하한 잎의 수분포텐셜은 저녁 무렵에도 회복하지 못하고 이튿날 아침녘에서야 8월 15일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하였다. 그러나 실험기간 중에는 새벽녘에까지 잎의 수분포텐셜이 회복하지 못하는 심한 수분스트레스는 발생하지 않았다. 그리고 이 기간 중에는 잎의 수분포텐셜보다는 대기의 수증기 요구도가 칡의 기공조절에 더욱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iurnal changes of the stomstal conductance, transpiration and leaf water potential were measured in order to assess the water relations characteristics of Pueraria thunbergiana in August of 1995 and 1996. The results showed two different responses depending on the duration of rainless days. The microclimatic conditions were highly stressful on 2 August. Daily maximum temperature reached to 39.0℃ and vapor pressure dcficit was 3.55 KPa. During this time the leaf water potential decreased to -1.02 MPa and a marked reduction of stomatal conductance was shown. However, on 15 August the stomatal conductance increased with increment of photon flux density, and transpiration was highly maintained during the day time. Minimum leaf water potential was only -0.47 MPa in spite of high transpiration rate. Furthermore, on 15 August reduced leaf water potential during the day time was recovered rapidly with decrease of photon flux density, whereas recovery of leaf water potential on 2 August was delayed. However, reduced leaf water potential on 2 August was recovered until the next dawn. Osmotic potential at turgor loss point of Pueraria thunbergiana on 2,3 and 15 August was -1.79, -1.70 and -1.60 MPa, respectively. The vapor pressure deficit is more contributive to the regulation of stomatal conductance than leaf water potent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