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SCOPUS
미국자리공 ( Phytolacca americana ) 에서 추출한 생물활성 물질의 동정 및 생물검정에 관하여
Identification and Bioassay of Bioa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Phytolacca americana
한상미(Sang Mi Han),배기환(Ki Hwan Bae),최관삼(Kwan Sam Choi)
UCI I410-ECN-0102-2009-470-004967826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미국 자리공에서 생물활성물질의 분리, 동정 그리고 생물활성검정 등을 연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미국자리공의 메탄올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에틸아세테이트 분획과 수포화 부탄올 분획에서 각각 한가지씩의 추출물 단리에 성공하여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해 α-spinasterol과 phytolaccoside E로 동정하였다. 2. α-spinasterol과 phytolaccoside E는 식물의 발아에는 영향을 주지 않으나 초기생육은 크게 억제하였다. 특히 뿌리의 괴사를 유발하여 식물체 전체의 고사를 유발하였다. 3. 포도현탁 배양세포에 α-spinastreol과 phytolaccoside E를 처리했을 때 두 물질 모두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4. 공시한 6종의 식물 병원성 진균들의 생장은 점도에 차이는 있을지라도 이들 두 물질에 의해 대부분이 생장억제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Mucor racemosus가 가장 약해 phytolaccoside E의 값이 약 22 ㎍/㎖ 정도에서도 생장억제가 나타나는 반면 Fusarium속은 890 ㎍/㎖에서 나타나 약 40배 정도 이상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5. 암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에서는 phytolaccoside E의 경우는 어느 정도 그 효과를 생각할 수 있었으나 α-spinastrrol은 효과가 별로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identification and bioassay of bioactive compounds which isolated from Phytolacca americana L. obtained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wo biological active compounds were found from crude extracts of P. americana roots, using the systematic solvent fractionations, such as ethyl acetate fraction and butanol fraction. One biological compound was isolated from the ethyl acetate fraction with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 which was identified as a α-spinasterol by spectral analysis of IR, H-NMR, C-NMR and MS. The other one is isolated from butanol fraction which was identified as phytolaccoside E by spectral analysis of IR, H-NMR, C-NMR and MS. 2. The α-spinasterol and phytolaccoside E induced necrosis of primary root and resulted in death of the tested plant. These two compounds strongly inhibited to the growth of Mucor racemous and Phytophthora infestants but did not inhibited the growth of Colletoricum lagenarium and Fusarium oxisporum. 3. Cytotoxicity of the two biological active compound was exammined to the two different animal cancer cell lines (L1210, K562). The phytolaccosidc E has some cytotoxical activity to the growth of cancer cell lines (L1210, K562) but α-spinasterol has not cytotoxical effect.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