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8
216.73.216.28
close menu
SCOPUS
넓은잎천남성 ( Arisaema robustum ) 개체군의 잎과 잎생장 패턴
Patterns of Leaf and Leaf Growth in Arisaema robustum Population
민병미(Byeong Mee Min)
UCI I410-ECN-0102-2009-470-004968252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넓은잎천남성 (Arisaema robustum)의 잎과 잎생장 패턴을 규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광주군 중부면 산성리의 낙엽활엽수림내에서 자연군락을 대상으로 1993년부터 1995년까지 조사하였다. 넓은잎천남성 개체군에서 잎을 각 소엽별로 구분하여 조사한 결과, 소엽의 엽면적은, 3소엽형 개체는 정소엽보다 측소엽의 것이 컸지만, 5소엽형의 경우에는 정소엽의 것이 다른 측소엽의 것보다 다소 컸지만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각 소엽의 비엽면적을 비교하면, 3소엽형의 개체가 5소엽형의 것보다 컸으며 이는 0,1%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동일 소엽형 개체군 내어서 각 소엽간 비엽면적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각 소엽 혹은 한 개체의 총 엽면적은 비엽면적에 반비례하였다. 특히 정소엽, 3소엽형 개체의 측소엽, 5소엽형 개체의 제1측소엽에서는 이들의 관계가 1%수준에서 유의한 음의 상관을 보였다. 엽병의 길이 및 건중과 엽신의 면적, 건중 및 비엽면적간의 관계에서 볼 때, 엽병의 각 속성과 엽신의 것들간에는 1% 수준에서 유의한 관계를 보여으며, 이들 중 엽병의 건중과 엽신의 건중간의 상관계수가 0.952로 가장 컸다. 엽연의 형태는 전연과 거치연이 동시에 나타났으며 동일한 개체는 매년 거의 동일한 형태의 엽연을 보였다. 엽수 혹은 소엽수에서 볼 때 대부분 1엽형이었고, 이중 5소엽형의 개체와 3소엽형의 것이 가장 많았으며, 2소엽형과 4소엽형도 일부 나타났다. 소엽수 혹은 엽수의 증가면에서 볼 때 78%가 매년 동수를 유지하였고, 20,4%의 개체가 증가, 7.1%의 것이 감소하는 변화를 보였다. 소엽수가 변화된 개체 중에서는 3소엽에서 5소엽으로 증가한 것이 총 조사 개체중 14%로 가장 많았다. 엽면적의 연변화는 137%이었으며, 1엽형 중 5소엽을 그대로 유지하는 개체만 제외하면 소엽수의 증가와 관계없이 엽면적의 증가는 약 60∼70%이었다. 잎의 형태를 엽신의 길이/폭으로 나타내냈을 때 전 개체는 약 1∼2이었으며, 이의 연변화는 0.182∼0.286으로 약 12∼20%에 해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이가 심하여 동일한 개체라도 매해 길이/폭의 비가 달랐다.

The Arisaema robustum, perennial non-stem herb, population in the temperate forest of Sanseong-ri, Joongbu-myeon, Kyonggi Province was studicd for leaf patterns and leaf growth from 1993 to 1995. The area of each side leaflet was larger than that of the apical leaflet in 3-leaflet form plant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leaflets (apical, 1st side and 2nd side leaflet) in t-testing of the 5-leaflet form plants. The specific leaf area (SLA) of the 3-leaflet form plant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5-leaflet form plant,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at 0.1%. But differences of SLA value among the leafleats of the same leaflet form plants were minor. The area of leaflets or total leaf area was inversely proportioned to the their SLA values. Especiall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CC) between leaf area and SLA in apical leaflets and side leaflets of the 3-leaflet form plant compared to the 1st side leaflets of the 5-leaflet form plants were significant at the level of 1%. The differences between two sides in the dry weight and area of leaflets starting from the apical leaflets were about 5%. The CC values betwen attributes of the petiole (length and dry weight) and those of leaf blades (dry weight, leaf area and SLA) were high and significant at a 1% level. Especially, The CC value between the dry weight of the petioles and that of the leaf blades was higher than any others (r=0.952). The morphologies of the leaf margins were entire, medium serrate and serrate, and the same plant showed the same type from year to year. The plants usually had one leaf and occasionally 2 leaves. 1-leaf plants usually had 3 or 5 leaflets and occasionaly 2 or 4 leaflets. Each year, the ratio of individuals having the same number of leaflets was 72%, and that of individuals having a different number of leaflets was 27.54% (an increase of 20.4% and a decrease of 7.1% respectively). In the individuals increasing in the number of leaflets, the ratio of individuals shifting from the 3-1eaflet form to the 5-leaflet form was 14%. The increase ratio of leaf area per individual a year was 37%, and the increase ratios of the plants increasing in leaflets were 60∼70% regardiness of leaflet increase. The ratios of leaflet length/breadth were about 1~2, and the variations of those were 0.182∼0.286 each year (12∼20%).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