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213
216.73.216.213
close menu
SCOPUS
까치박달과 서어나무의 광합성과 수분관계에 미치는 토양 침수의 영향
The Effect of Soil Flooding on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s of Carpinus cordata and Carpinus laxjflora
박용목(Yong Mok Park)
UCI I410-ECN-0102-2009-470-004968727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같은 속으로 계곡의 물가에 주로 분포하는 까치박달과 물가주위에 분포하지 않는 서어나무의 이소적 분포 특성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두 종의 분포지에서 채취한 유목을 재료로 기공전도도, 광합성 그리고 수분관계 미치는 침수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침수처리 2일째부터 서어나무의 기공전도도와 광합성은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감소하여 처리 7일째는 대조구의 95%까지 광합성이 감소하였다. 또한 이 기간의 xylem pressure potential도 현저한 저하를 나타내었다. 반면, 까치박달의 기공전도도와 광합성 속도는 대조구와 처리구사이에 차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xylem pressure potential에서도 처리간의 차가 없었다. 따라서 이러한 침수에 대한 반응의 차는 적어도 두 종의 야외에서의 분포에 기여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o explain allopatric distribution of Carpinus cordata and C. laxiflora in the field the effect of soil flooding on photosynthesis and water relations was tested with field grown saplings. Under the flooding condition stomatal conductance of C. laxiflora decreased markedly from day two after flooding treatment and remained low throughout the experiment. In contrast, flooding had no effect on stomatal conductance of C. cordata throughout the experiment. The rate of photosynthesis of C. laxiflora was significantly suppressed under flooding conditions, whereas that of C. cordata was not affected in the flooded condition. On day seven after flooding treatment xylem pressure potential of C. laxiflora significantly decreased. Flooding, however,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xylem pressure potential of C. cordata throughout the experiment. From these finding it is conclud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resistance to flooding between C. cordata and C. laxiflora and that one of the factors responsible for allopatric distribution in the two species is flood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