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SCOPUS
참나무속 3 종의 유식물 정착과 생장의 비교에 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Seedlings among Three Oak Species
백명수(Myeong Su Baek),조도순(Do Soon Cho)
UCI I410-ECN-0102-2009-470-00496509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환경요인에 대한 참나무 유식물의 정착과 생장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3종의 참나무 즉,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졸참나무 (Q. serrata) 및 굴참나무 (Q. variabilis)의 유식물을 대상으로 온실조건에서 재배하여 초기정착과정을 실험적으로 연구하였다. 평균 종자 무게는 굴참나무가 가장 컸고 졸참나무가 가장 작았으며 발아율은 굴참나무가 가장 높았고 실갈나무와 졸참나무는 낮았다. 졸참나무는 종자 크기에 따른 발아율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신갈나무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참남 3종의 유식물 출현은 모두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3종의 참나무 유식물의 첫번째 잎의 출현은 발아 후 약 20일 이후부터 빠르게 증가하였다. 빛, 토양수분 및 비료의 3가지 환경요인의 조합으로 설계된 온실실험에서 참나무 3종의 유식물의 생장반응을 조사하였다. 빛의 토양수분은 굴참나무 유식물의 신장생장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으나,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유식물에서는 그 영향이 미약하였다. 그러나 빛과 토양수분은 굴참나무 뿐만 아니라 신갈나무와 졸참나무의 생물량의 생장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비료는 3종의 참나무 유식물의 생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굴참나무는 빛과 토양수분에 잘 반응하여 큰 숲틈에서 잘 자랄 것으로 생각되며 신갈나무와 졸참나무도 어느 정도의 내음성을 보이나 유목으로의 생장을 위해서는 숲틈의 형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oak seedlings were studied in the greenhouse. The early seedling performances of three oak species (Quercus mongolica, Quercus serrata, Quercus variabilis) were compared. Mean seed weight was the biggest in Q. variabilis, and the smallest in Q. serrata, and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Q. variabilis than in Q. mongolica and Q. serrata. The germination rat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ed weight class in Q. serrata, but not in Q. mongolica. Emergence of oak seedlings was similar in all three oak species, and especially the first leaf emergence increased about twenty days after germination. An experiment was designed using three environmental factors (light, soil meisture, fertilizer) to compare the response of the three oak species. Light and soil moisture significantly affected the seeding height growth of Q. variabilis, but the effect was marginal in Q. mongolica and Q. serrata. However, growth of seedling biomass was significant in all three oak species. In contrast, fertilizer did not affect seedling growth of any of the oak species. Q. variabilis is expected to grow well in large gaps because it is very sensitive and responds well to high light and high moisture conditions. Q. mongolica and Q. serrata are relatively tolerant to shade but may need gaps for the seedlings to grow into sapling.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