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도와 고도가 다른 9개 지역(대관령, 알프스 산장, 간성, 속초, 주문진, 수원, 대천, 석곡, 목포)에서 애기수영(Rumex acetocella L.)개체군의 종자를 채집하여 발아습성에 따른 지리적 변이를 조사한 결과, 발아 양상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첫번째 그룹은 대관령, 알프스 산장의 개체군으로 봄발아형이었으며, 두번째 그룹은 수원, 대천 개체군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동안 동시적으로 발아하며, 세번째 그룹인 석곡과 목포 개체군은 늦가을에 시기를 달리하여 서서히 발아하는 패턴을 보였다. 첫번째, 두번째, 세번째 그룹에 있어서 10∼60% 까지의 발아율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적산온도는 저위도일수록 적고, 고위도일수록 적산온도의 값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위도가 높은 네번째 그룹의 간성, 속초, 주문진 지역은 항온에서의 발아반응도 적정온도의 범위가 좁으며, 10∼30% 까지의 발아율을 나타내는데 필요한 적산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에 동시적인 발아가 일어나는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애기수영은 같은 종내에서도 서식지에 따라 개체군의 발아습성이 현저히 다르게 나타나며, 이러한 지리적 변이는 그 식물의 성장과 번식 등 생존을 위하여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는 생태적 전략으로 사료된다.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rmination response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the seeds of Rumex acetocella were collected from nine sites (Taegwallyong, Alps lodge, Kans`ong, Sokch`o, Chumunjin, Suwon, Taechon, Sukgok, Mokpo) of different latitudes and altitudes. The populations of Rumex acetocella were subdivided into four group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ed germination. The first group of Rumex acetocella (Taegwallyong, Alps lodge) germinated rapidly in early spring, the second group (Suwon, Taechon) in late summer through early autumn, and the third group(Sukgok, Mokpo) slowly in late autumn with various conditions. The thermal time values needed for the germination rate of 10% to 60% for these three groups indicated that the germination rate was low at the lower latitude, while it was increased as the latitude elevated. The population of the fourth group (Kansong, Sokcho, Chumunjin) showed the narrow optimum temperature range of germination response and the highest thermal time value to germinate 10% to 30% of seeds. The seeds in the high latitude region with relatively mild winter germinated synchronously in early autumn. These different germination responses of Rumex acetocella to geographic variations were thought to be an ecological strategy to survive in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