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죠지아주 Athens에 있는, 최소한의 제초제만을 뿌린, 경운한 밭(CT plots)과 경운하지 않은 밭(NT plots)에 있어서의 잡초의 다양성이 연구되었다. 봄에는 Stellaria media가 가장 많았고 1983년과 1984년 여름에는 Sorghum halepense, Cassia obtusifolia, 그리고 Amaranthus retroflexus가 총생산량의 89∼97%를 차지하였다. 1984년 여름에 있어서의 총잡초생산량이 1983년에 비해 2∼5배였다. 1983년에는 NT plots에서의 잡초 생산량이 CT plots보다 많았고, 1984년에는 정반대의 결과였다. 특히 1985년 봄에는 NT plots에서의 총 생산량이 CT plots보다 더 많았다. 종의 다양성이 지속적으로 NT plots에서 더 높았다. 그러나, 비가 많이 온 1984년에는 CT plots에서 더 높았다. 잡초의 종류는 수수가 자란 곳보다 봄귀리가 자랐던 곳에서 더 활발하였다. 1984년 여름에는 잡초의 양이 더 많았고 또 잡초의 종류가 덜 다양했으며 이 사실은 이 군집들이 서로를 경쟁적으로 제거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습기가 많아 적절한 환경조건하에서 세가지 우세한 잡초는 매우 강하고 빨리 자람으로써 1983년과 같이 건조한 조건에서 자랄 수 있었던 열세인 잡초들을 자라지 못하게 하였다. 이 세가지 잡초는 다른 잡초 뿐만 아니라 작물의 생산량도 감소시켰다. 다년생 S. halepense는 CT plots에서 NT plots에서보다 비슷하거나 더 많이 자랐다. 밭을 가는 것이 S. halepense의 지하경을 죽이지 못했고 오히려 지하경의 숫자를 늘려주었다. 이것은 S. halepense가 밭을 가는 것에 의해 조절되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1983년 여름에는 NT plots과 CT plots 모두에 최소한의 제초제 사용으로써 적절한 양의 잡초가 유지되었다. 이것은 여러 종류의 잡초가 약간씩 섞인 잡초의 군집이 식물을 먹거나 기생하는 절지동물로부터 보호 역할을 하거나, 토양온도나 토양습도가 낮아지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생긴 결과일 수 있다.
The weed population dynamics as affected by contrasting conventional tillage (CT) and no-tillage (NT) practices with a minimum herbicide application was studied in Athens, Georgia, U.S.A. Common chickweed (Stellaria media) was the most common spring weed while johnsongrass (Sorghum halepense), sicklepod (Cassia obtusifolia), and pigweed (Amaranthus retroflexus) accounted for 89∼97% of net production during summers of 1983 and 1984. Total weed production in summer of 1984 was 2∼5 times greater than that of 1983. Weed production was greater in NT plots than in CT plots was greater than that in CT plots, especially, in 1985. Species diversity was consistently higher in NT plots, but in the wet summer of 1984 the pattern was different, with higher diversity in CT plots. Weed species diversity was higher in the spring rye crop than in the summer grain sorghum crop. The larger but less diverse weed populations in summer of 1984 indicated that these populations experienced competitive exclusion. Under the favorable summer moisture conditions the three dominant species grew so vigorously and quickly as to exclude many less common species that were able to survive under the drier conditions in 1983. The three dominant species not only excluded other weeds in 1984 but also greatly reduced crop production. The perennial johnsongrass was equally successful, or even more so, in CT plots as in NT plots, Plowing did not kill johnsongrass rhizomes but tended to break them up, thus increasing the number of individual plants that appear after the plowing. It means that johnsongrass was not controlled by the plowing. In summer of 1983, a moderate amount of weedy growth was maintained with a minimum amount of herbicide application in NT and CT plots. It is possible that a small mixed weed population would be beneficial by providing cover for predatory and parasitic arthropods, and by reducing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lo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