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수허리노린재 (Amoplocnemis dallasi)는 한국에서 주로 족제비싸리 (Amorpha fruticosa)의 신초의 즙액을 흡입하는 1차소비자의 생태적 지위를 가진 곤충이다. 장수허리노린재는 년 1세대를 경과하며, 성충으로서 월동하고, 월동한 성충은 5월 초·중순에서 5월 말까지 출현한다. 지금까지 알려진 기주식물을 재검토하고, 새로운 기주식물을 추가 기록하였다. 암컷은 주로 억새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의 마른 잎에 일직선상으로 연결하여 산란한다. 즙액을 섭취하지 않는 1령을 제외한 모든 유충은 신초를 가해한다. 1령유충은 산란된 잎의 난각 주위에서 집합하여 지내며, 교란시 흩어졌다가 곧 재 집결한다. 새로운 성충은 8월 말에 처음으로 나타나며, 10월 중순까지 섭식한다. 실험실 사육을 근거로 한 알과 각 유충의 발육기간과 생존곡선이 제시되었다.
Anoplocnemis dallasi Kiritchencho is a sap-sucker which feeds on tips of Amorpha fruticosa Linne in Korea. A. dallasi had one generation a year and overwintered as the young adult stage. Most overwintered survivors emerged in early-mid May to late May. Known host plants were reviewed, and new host records were added. Females mainly laid eggs in linear single chain masses on leaves of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Nymphs (except the non-feeding first instars) fed on young shoots. First instar nymphs clustered on leaves or shoots where they hatched, and, if disturbed, reformed aggregations soon. The second to the fifth instar nymphs migrate to the upper part of the shoot and congregate on a partly expanded leaf. New adults firstly appeared in late August, remained on A. fruticosa, host plant, and fed on until mid October. The duration and survivorship curve, in laboratory rearing, of the egg and each nymphal stadium was deter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