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기도내 이물흡인은 1-4세의 소아에서 비교적 흔히 발생할 수 있는 우발적 사고로 치료되지 않으면 종국에는 기도 폐색에 의한 급성 호흡부전과 만성 폐 감염, 무기폐 등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질환으로 조속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아주대학교병원을 내원하여 진단 치료받은 수원 및 남부경기 지역 환자를 중심으로 소아의 기도내 이물흡인에 따른 임상증상, 이물 종류 및 조기진단에 따른 재원기간과 합병증 둥을 분석하였다.
방 법 : 1994년 11월부터 2000년 10월까지 6년 동안 아주대학교병원 소아과에 기도내 이물흡인으로 입원 치료받았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성별 및 연령분포, 이물흡인의 병력, 이물흡인 후 진단까지의 기간, 이물 흡인에 따른 증상 및 이학적 소견, 흉부 X-선 소견, 이물의 종류 및 기도내 위치, 재원기간 및 합병증 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기도내 이물 흡인 환아의 평균 연령은 2년 5개월로 남아에서 더 호발하였으며 흡인의 병력을 알고 있었던 경우는 11례(57.9%)였고, 이중 4례는 24시간내 진단 및 내시경적 이물 제거가 이루어졌다. 흡인에 따른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기침(73.6%)과 호흡음 감소(57.9%)였으며 흉부 X-선 이상소견으로는 폐기종(68.4%)이 가장 흔한 소견이었다. 19례 모두 기관지 내시경하에 이물을 제거하였으며 이 중 식물성 이물이 73.6%로 가장 흔하였으며 좌우 기관지에 유사한 비율로 분포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례는 1차 기관지 내시경 시행시 이물이 발견되지 않았으며, 재원 기간 중 컴퓨터 단층 촬영을 시행하여 이물이 확인되어 재차 기관지 내시경을 시행 받았던 경우였다. 충 19례의 평균 입원기간은 7.47일이었으며 이 중 24시간내 진단되었던 4례의 평균 입원기간은 3.75일로 24시간 이후 진단되었던 15례의 평균 입원기간(8.61일)에 비해 짧았다(=0.012).
결 론 : 소아의 기도내 이물흡인은 3세 이하에서 가장 흔하며 특징적인 임상증상과 이학적 소견을 나타내므로 병력청취에 주의를 기울여 조속한 진단과 함께 적절한 치료시 입원기간이 단축됨을 알 수 있었다.
Purpose : Foreign bodies in the airway of infant and children require prompt diagnosis and removal. To evaluate the patter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 course, we reviewed and analyzed a 6-year experience with pediatric airway foreign bodies in children.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ediatric foreign body aspiration managed by pediatric and otorhinolaryngologic departments of Ajou University Hospital from November 1994 to October 2000. Nineteen cases of aspiration were collected and we analyzed their age, sex, symptoms, duration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diagnosis, initial simple radiographic findings, matierials of aspirations, anatomic location of foreign body, length of hospital day, and complications. Results : The mean age was 2.7 years and male-to-female ratio of 1.8: 1. In 11 cases, choking episode was identified by parents or patients. The correct diagnosis was made within first 24 hours of aspiration in 4 patients; while in 15 cases, the proper diagnosis was done after 24 hours. The most common presenting symptoms were cough(73.6%) and decreased breath sounds(57.9%) and the most common initial finding of simple radiographs was emphysema, presented in 68.4% of patients. Vegetable substances, particularly peanuts were the most common material of identified foreign body. Nine foreign bodies were in the right bronchus, 8 in the left bronchus and 2 in the subglottic area. The mean duration of admissions were 3.75 days in pateints who were diagnosed within 24 hours, however, 8.61 days in those with a delayed diagnosis(P=0.012). Conclusion : Taken together, the majority of accidental foreign body aspiration in airway was found under 3-year of age. Pediatricians and parents should be conscious to check for history of foreign body aspiration who have suspicious clinical features of aspiration, for early diagnosis and proper management without complications and long term morbid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