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Chlamydia pneuimoniae 감염은 만성 반복적인 감염을 유발하고, 다양한 호흡기 질환을 야기할 수 있으며, 연령이 많아질수록 그 특이 항체 양성률이 증가한다. 최근 Chlamydia pneumoniae 감염과 천식과의 연관성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어 성인의 비아토피성 천식과 유의한 상관성이 증명된 바 있으며, 소아에서도 비액이나 혈청을 이용하여 배양법이나 PCR 등의 첨단 분자생물학적 기법을 적용한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이에 저자는 본원 소아과에 내원한 천식 환아들의 혈청내 Chlamydia pneumoniae 특이 항체를 ELISA 방법으로 검출하여 천식과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소아과에 내원하여 천식으로 진단 받은 환자군과 천식을 포함한 호흡기 및 감염성 질환에 이환 되지 않은 정상 대조군의 혈액을 수집하였다. 원심 분리한 혈청을 사용할 때까지 -20℃에 보관하였다. 소아 천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혈청내 Chlamydia pneumoniae 특이 IgG, IgA를 검출하기 위하여 ELEGANCE Chlamydia pneumoniae IgG ELISA, ELEGANCE Chlamydia pneumoniae IgA ELISA(Bioclone, Varrickville, Australia) kit를 이용하였다.
결 과 :
1) 환자군 100명(남:55, 여:45), 정상 대조군 57명(남:28, 여:29)의 남녀 비는 각각 1.86:1, 1:1이었고, 평균연령은 각각 6.8±2.8, 6.3±3.4세로 통계학적 차이가 없었다.
2) IgG의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23.0%와 17.5%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3) IgA의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24.0%와 14.0%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P>0.05).
4) IgG와 IgA 동시 양성률은 환자군과 대조군 각각 21.0%와 8.8%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P<0.05).
결 론 : 천식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의 혈청내 Chlamydia pneumoniae 특이 IgG, IgA 검출을 위한 ELISA의 결과 Chlamydia pneumoniae 감염과 소아 천식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관찰할 수 있었다.
Purpose :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causes chronic recurrent infection, and is related to a broad spectrum of respiratory disease, and the specific antibody titer increases with age. As the interest in correl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and asthma has been recently increas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nonatopic asthma in adults has been proved, and in children the study results by using molecular biological techniques such as PCR and culture of patient`s serum or nasal aspirate have been reported.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and asthma with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antibody by ELISA of asthma patients who visited the hospital. Methods : We collected the sera from patient group who visited the pediatric department of Yonsei University Medical Center to be diagnosed as asthma and from control group who had no evidence of asthma, respiratory or infectious disease. Centrifused sera were kept in -20℃ refregerator. To detect the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IgG and IgA of patient and control groups, we used ELEGANCE Chlamydia pneumonia IgG ELISA and ELEGANCE Chlamydia pneumonia IgA ELISA(Bioclone, Varrickville, Australia) kits. Results :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IgG and IgA ELISA were performed on patient group(55 males, 45 females) and control group(28 males, 29 females). The mean ages of patient and control groups were 6.8±2.8 and 6.3±3.4 years each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ositive rate to IgG in patient and control groups was 23.0% and 17.5% each(P=0.34). Positive rate to IgA in patient and control groups was 24.0% and 14.0% each(P=0.22). Positive rate to IgG and IgA in patient and control groups was 21.0% and 8.8% each(P=0.047). Conclusion :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hlamydia pneumonia infection and childhood asthma by the result of serum Chlamydia pneumonia specific IgG and IgA ELISA of patient and control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