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가와사끼병은 아직 그 원인이 밝혀지지 않고 있으나 면역성 질환으로 생각되고 있다. 흥미로운 점은 가와사끼병 진행과정 중 일부의 환자에서 BCG 접종부위의 발적이 관찰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현상은 가와사끼병이 BCG와 연관이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마우스에서 Mycobacterium에 대한 자연면역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Bcg 유전자임이 밝혀져 있으며 이에 상응하는 유전자가 사람에서도 발견되어 natural resistance associated macrophage protein 1(NRAMP1)으로 명명되고, 이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가와사끼병에서 BCG 접종부위의 발적이 NRAMP1 유전자의 활성화와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가와사끼병으로 진단된 환아 10명과 발열대조군 환아 10명, 같은 연령군의 정상 아동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아동의 말초혈액에서 total RNA를 추출하여 cDNA를 만든 후 PCR을 시행하고 PCR product를 agarose gel에 전기영동한 후에 반응 띠를 관찰하고 이것을 다시 densitometer로 정량측정을 시도하였다. 정량측정값은 β-actin값으로 보정하여 환산하였다.
결 과 : 급성기 및 아급성기 환자에서 NRAMP1 유전자 발현은 정상군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되어 있었고 급성기와 아급성기간의 발현 정도의 차이는 없었다. NRAMP1 유전자 발현은 발열 대조군에서도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고 환자군과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가와사끼병에서의 NRAMP1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은 이 질환의 특유한 현상이 아니라 발열이 있는 환자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생각되어진다.
Purpose : Kawasaki disease(KD) is considered to be an immunologic disease, although the exact etiology of the disease is still unknown. It is well known that the erythema on the BCG injected site are observed in patients with KD. In mouse, bcg gene was reported to be involved in the natural immune response to Mycobacterium. The correspondent gene in human, NRAMP1, is studied recently for its role and function.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the erythema developed on BCG injected site in patients with KD is related to NRAMPI gene activation. Methods : Ten patients diagnosed as KD, 10 febrile controls and 10 healthy normal control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otal RNA of PBMC was isolated and used to synthesize cDNA. RT-PCR was done and amplified products were subjected to electrophoresis on 1.5%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he bands were quantified with densitometry and the values were corrected according to β-actin values. Results : The NRAMPI expression was notab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acute and subacute stage of KD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degree of expression between the two groups. NRAMP1 expression was also increased in febrile control groups and was not different from patients group. Conclusion : Increased NRAMPI expression in KD is suggested to be developed for the expression of heat shock protein, and not to be the specific finding of K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