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모기에 물린 후 나타나는 여러 가지 반응들은 혈청내 모기 특이 IgE 항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미 서구에서는 모기에 물린 후 팽진, 구진 등의 피부 국소반응과 출혈성 피부 병변, 혈관 부종, 천식 및 쇼크에 이르는 전신반응에 대한 증례 보고와 면역학적 연구가 시행되어 왔으나, 국내에서는 이에 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모기 항원은 모기의 몸체, 두흉부, 침샘, 침 등을 이용한 immunoblot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으며, 모기의 종에 따라 그 항원성은 상이하다. 정제된 항원의 제조는 모기 알레르기 환자의 진단 및 면역치료에 필수적이나, 상품으로 시판되는 모기 항원들은 현재까지 그 항원 농도와 단백질 농도가 일정치 않아 표준화가 필요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이에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Culex pipiens의 항원을 추출하여 그 항원성을 분석해 보았다.
방 법 : 연세의대 소아과, 아주의대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에 내원하여 시행한 피부 반응검사상 모기 항원에 양성 반응을 보인 환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국립보건원 의동물학과로부터 사육중인 Culex pipiens를 공급받아 마취하에 두흉부를 분리하여 homogenizer를 이용하여 수용성 균질액을 만들고, 원심분리하여 filter에 투과시켜 조항원을 만들었다. Bradford method에 따라 단백질 농도를 측정하고, SDS-PAGE를 시행하여 분리한 후, nitroucellulose membrane에 전이시킨 후, 모기 항원으로 시행한 피부반응검사상 양성 반응을 보인 환아의 혈청을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실시하여 IgE와 결합하는 단백띠를 관찰하였다.
결 과 :
1) Culex pipiens 조항원의 단백질 농도는 10.88 mg/ml 이었다.
2) Culex pipiens 조항원의 SDS-PAGE 결과 20여개의 단백띠가 분리되었다.
3) Immunoblot 결과 70 kD, 60 kD, 34 kB의 단백띠가 IgE와 결합하였다.
결 론 ; 우리 나라에서 서식하는 모기 중 Culex pipiens의 조항원을 제조하였으며, 70 kD, 60 kD, 34 kD의 단백띠가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으로 추측되며, 향후, 침샘 및 침을 이용한 정제된 항원을 이용한 연구가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 Adverse reactions to mosquito bites have been recognized for some time, and these usually consist of large swellings, generalized urticaria, angioedema, and less frequently asthma. There have been some efforts to define immunologic characteristics of mosquito allergens throughout the world. But, in Korea, the immunologic analysis of mosquito allergen have not been made. Methods : Extracts of locally distributed female mosquito Culex pipiens, were prepared from their heads and thoraxes. By sodium dodecyl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proteins of two extracts were isolated. Then their proein bands were transferred to nitrocellulose membrane. Immunoblotting was performed with sera of allergic patients to mosquito bites, then completed by antibodies to human IgE. Results : Immunoblotting showed IgE binding proteins weighing 70 kD, 60 kD, 34 kD in Culex pipiens. Conclusion : We found that mosquito antigens induced IgE response, and it suggested that species-specific antigens exist. Further investigation using salivary gland extracts from Culex genus are needed in identifying specific allerg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