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 집먼지 진드기는 세계적으로 소아 천식의 가장 중요한 원인 항원이며, 우리나라 소아를 대상으로 한 알레르기 피부 시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약 80% 이상의 양성률을 보인다. 집먼지 진드기 항원에의 감작은 주로 4, 5세 이상의 연장 소아나 성인에서 의미있게 관찰되기는 하나 소아 천식을 않고 있는 4세 미만의 영유아의 경우도 집먼지 진드기 항원이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다. 외국의 경우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집먼지 진드기의 조항원을 이용하여 시행한 IgE immunoblot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140KD-6KD에 이르기까지 최소한 32개의 IgE 결합 단백이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며, 25KD의 Group Ⅰ 및 15KD의 Group Ⅱ, 30KD의 Group Ⅲ 항원이 주된 알레르겐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얻은 결과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소아 연령의 알레르기 환자들에서 집먼지진드기 항원의 주된 알레르겐을 알아보고, 동시에 연령별 IgE결합 양상을 비교하여 봄으로써 초기 감작에 영향을 주는 알레르겐을 알아 보았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는 아주대학교병원 소아 알레르기 크리닉에 찾은 천명을 주소로 내원하여 기관지천식으로 진단된 1-12세의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를 Group Ⅰ(1-3세)와 Group Ⅱ(4-12세)로 나누어 집먼지진드기 특이 IgE 항체와 혈청 총 IgE 항체를 RIA 법으로 측정하였다. 저자들이 배양 제조한 D. pteronyssimus의 조항원을 SDS PAGE에 의하여 분리한 후 환자와 음성 및 양성 대조혈청(1:4 회석)을 이용하여 Western-blot(biotin avidine phosphatase system)을 시행하였고, 개인 및 연령별 IgE 항체 결합 양상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 과 : Group Ⅰ의 경우 13명 중 9명(69.2%)에서 IgE 결합 단백올 관찰할 수 있었고, 15kD 단백은 9명, 98KD 단백은 2명, 59KD, 31KD, 25KD 단백은 각각 1명의 환자에서 결합하였다. 반면, Group Ⅱ의 경우 12명중 11명(91.7%)에서 1개 이상의 IgE 결합 단백이 관찰되었고, 15KD 단백은 12명(100%), 25KD 단백은 8명(67%)에서 결합하였고, 18KD 및 94KD 단백은 4명, 210KD와 98KB 단백은 3명, 45KD와 14kD 단백은 1명씩 관찰되었다.
결 론 : 우리나라 소아의 경우 D. pteronyrsinus 항원중 15KD 항원이 전 연령에서 주요 알레르겐이며, 따라서 이 항원이 초기 감작에 중요하리라 사료되었고, 25KD 항원의 경우는 주로 연장 소아에서 알레르겐으로 작용함을 시사하였다.
House dust mite is the most important causative allergens of childhood asthma and its positive rate of allergy skin test reaches up to 80% in atopic asthmatic children in Korea. Although the mite sensitization is more significant in older children(>4 years), it is also important in some younger(<4 years) asthmatic children. To identify the major allergens in Korean atopic asthmatic children and find the variations of IgE binding pattern to Dermatoph agoides pteronyssinus(Dp) in younger and older age groups, we conducted IgE immunoblot. Sera were collected in 25 children with Dp-sensitive atopic asthma : Group Ⅰ(younger children aged 1-3), Group Ⅱ(older children aged 4-12). Using our own-made crude Dp extract, we conducted IgE- immunoblot (biotin-avidine-phosphatase system). In the group Ⅰ, the 15KD protein was significantly bound by 69.2%(9/13) of sera and 98KD, 59KD, 31KD, 25KD components were bound by 8-16% of sera, respectively. In the group Ⅱ, the 15KD and 25KD proteins were significantly bound Immunoblot by 100% and 67% of sera, and 18KD, 94KD by 33%, 98KD by 25%, 45KD by 8% of sera,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15KD protein is the most prevalent IgE-binding antigen in all age groups, on the other hands, IgE-sensitization to 25KD component is confirmed mainly in the cases of older age group in this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