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82
216.73.216.182
close menu
생물학적 수질기준 설정 필요성 및 접근방안
공동수
UCI I410-ECN-0102-2009-470-004961824

수질오염의 기준과 모니터링을 위하여 폭 넓고 다양한 수질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수질평가는 대부분이 화학적 분석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생물학적인 수질조사 방법의 도입은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다. 생물학적 조사의 장점은 화학적 조사에서 검출이 불가능한 오염원의 검출이 가능하고, 다양한 오염원으로부터의 시너지 효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소량의 오염원에 장기간 노출되었을 때의 환경변화 혹은 생물의 반응을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수질환경기준에 대한 비교고찰과 함께 국내 수질환경기준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특히, 수질 환경 평가를 위한 생물학적 수질환경기준의 설정 필요성과 그 접근 방안을 제시하였다. 생물지수를 이용한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지표생물의 각종 혹은 각 개체군의 내성치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아울러 지표 군집지수의 표준화 및 보급이 필요하다. 이와 아울러 조기경보시스템이나 퇴적물에 대한 독성 시험에의 활용 등 응용범위를 넓혀 나가 선진 수질 관리를 위한 방법과 노력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