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42
216.73.216.142
close menu
SCOPUS
섭제골 지역의 산화지 및 비산화지의 군락구조 비교
Comparison of the Community Structure in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in SeobJe - Gol
심학보(Hak Bo Sim),김원(Woen Kim)
UCI I410-ECN-0102-2009-470-004969204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1982년 4월에 발생한 산불에 의해 소나무림과 그 임상식생이 파괴된 섭제골의 산화지와 이에 인접한 비산화지에서 식생구조와 토양성분을 비교하므로써 산화지의 초기식생과 이차천이 과정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에 출현된 종수는 B_1, B_2지소에서 각각 25, 23종류, U_1, U_2지소에서 각각 32, 27종류로서 산화지에서 비산화지 보다 비교적 적게 나타났다. 조사지의 생활형 조성은 산화지와 비산화지 공히 H-D_1-R_5-e형으로 나타났다. 우점종 순위는 산화지에서 새(90.36) -억새(84.26) -산거울(71.87)순이었고, 비산화지에서는 소나무(76.80) -산거울(62.32) -털진달래(55.79)순이었다. 천이도는 산화지가 662∼719로 비산화지의 684∼859보다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성지수는 산화지에서 2.1985∼2.3506로 비산화지의 2.4094∼2.4562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냈고, 또한 균등성지수 역시 산화지에서 0.6830∼0.7497로 비산화지의 0.7087∼0.7301보다 약간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산화 이후 경과시간의 불충분에 의한 현상으로 종이 비교적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보였다. 조사기간의 유사도지수는 B_1-B_2 > U_1-U_2 > B_2-U_1 > B_1-U_1> B_1-U_2 > B_2-U_2순으로 나타났다. 토양내의 pH, 총질소함량, 유효인산, 치환성 칼륨은 산화지가 비산화지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산불에 의한 열과 회분의 첨가에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This is a report on the early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succession in the burned area of SeobJe-Gol of Hwasan-Myoˇn, Yoˇngchoˇn-Gun, Kyuˇngsangbuk-do Province. The forest fire occurred on April 8, 1982 and the pine forest and its floor vegetation were burned down. The investigation was done six times from August 20, 1982 to August 13, 1983.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loristic composition of burned areas B_1, B_2 and unburned areas U_1 , U_2 were composed of 25, 23, 32, and 27 kinds of vascular plants, respectively. The biological spectra showed the H-D_1-R_5-e type in both the burned and unburned areas. The species of Arundinella hirta,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and Carex humilis var. nana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burned area, while Pinus densiflora, Carex humilis var. nara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ciliatum were dominant species in the unburned area. Degree of succession of the unburned area was compar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burned area. Species diversity index and evenness index of the burned area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unburned area. Indices of similarity in sampling sites showed that B_1 and B_2 stands were the most similar. pH,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us and exchangeable potassium of soil increased but organic matter and total organic carbon decreased after fi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