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백나무의 잎과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화학물질이 다른 식물에 미치는 독성작용을 구명하려고 측백나무 잎을 수용추출하여 측백나무 林內種과 林外種 식물의 발아 실험결과 산국, 쑥, 달맞이꽃 등 임내종의 발아율이 임외종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수용체 식물의 발아율은 추출액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거의 반비례적으로 나타났다. Plastic pot에 식물을 재배하면서 측백나무 잎 추출액을 공급하여 신장생장을 조사한 결과 지하부쪽이 지상부보다 훨씬 많이 억제되었고 농도에 따르는 신장생장은 고농도로 갈수록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런데 측백나무 잎과 줄기 추출액으로 plastic pot에서 재배한 4종 식물의 건중량을 조사해보면 발아나 신장 실험의 결과보다 더 분명하게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측백나무 잎에서 방산되는 휘발성 물질에 의한 상치와 달맞이꽃 그리고 쑥의 종자발아 실험결과는 발아율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쑥, 쇠무릅은 대조구에 비하여 실험구의 값이 크게 저조하였다. 또 측백나무 잎의 휘발성 물질에 의한 수용체 식물의 유식물 신장생장은 차이는 있었으나 대부분이 심하게 억제되었다. 특히 상치의 신장생장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뚜렷하게 역비례적인 억제가 이루어졌다. 그래서 측백나무 잎을 GC로 분석하여 α-thujone등 42종의 화학물질을 처음으로 분리확인했고 이 중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관계 성분 6종을 선택하여 생물학적 정량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bornyl acetate구에서 가장 발아율이 저조하였고, 아울러 유식물의 신장생장 실험은 발아 실험보다 더 심하게 억제되었다. 그래서 측백나무에 함유된 화학 물질들은 다른 식물의 생장 억제 물질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입증하게 되었다.
To elucidate phytotoxic effects on the growth of receptor plant, germination and growth experiment of selected species have been performed with aqueous extracts and volatile substances of leaf and stem of donor plant, Thuja orientalis. The extracts of T. orientalis caused suppression effect of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ceptor plants. In particular, dry weight growth was severely decreased by the extracts of leaf and stem of T. orientalis.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eceptor plants were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Gas chromatography method was employed for analysis and indentification of phytotoxic substances from T. orientalis. Forty-two kinds of chemicals including α-thujone were identified from T. orientalis essential oil. Bioassay was performed with 6 chemicals such as α-pinene, α-terpinene, γ-terpinene, β-myrcene, and among them bornyl acetate was the strongest growth inhibi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