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2001.7) 개발중에 있는 국내 대륙붕 제 6-1광구 동해-1 가스전과 관련하여 저류층에서 가스고갈 후 가스저장전으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 가스전이 개발단계에 있어 생산결과로 확인해 볼 수 있는 저류층에 대한 상세한 압력변화, 대수층 영향 등의 자료가 부족한 상태이기는 하나, 시뮬레이션을 통해 향후 저장전으로의 활용가능성을 사전 규명해 보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스생산이 완료된 후에 저류층에 저장가능한 가스량과 이를 위해 필요한 유정수, 저장 및 생산을 위한 최소한의 유정수를 찾아내는 것이다. 저장전 시뮬레이션 수행에 앞서 저류층의 생산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이후 동해-1 가스전 저류층 중 B3/H4 zone 만을 선택하여 가스전 전환 모델로 변경하여 시뮬레이션을 재실시하였다. 그 결과 저장가능용량과 압력 추이 및 적정 유정수를 산출할 수 있었다. 또한, 저장전 전환에 필요한 최소의 유정수를 찾기 위해 튜빙크기와 저류층 압력을 변수로 TPC 및 IPR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튜빙크기에 따른 최소의 생산정수를 도출하였고, 이 결과를 시뮬레이터에 입력하여 적정성 여부를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suitability study of Donghae-1 gas reservoir into gas storage site after depletion, which is being developed as of July, 2001 and located at Block Vl-1, Korean Offshore. It is believed that the gas storage suitability study is a meaningful work even though the Donghae-1 is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no production data is available such as actual pressure data, aquifer effect and etc.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gas volume, which would be stored after depletion, number of wells and the minimum number of wells by adjusting tubing size for storage use. After production simulation, the production model was changed into gas storage model for storage simulation on B3/B4 zones. As a simulation result, we obtained total number of wells for injection and withdrawal, gas volumes such as base gas, working gas and spare volume, and pressure changes at the wellhead, bottomhole and reservoir. In addition, to find out minimum number of wells needed for gas injection & production, TPC and IPR analyses were performed by changing tubing size. As a result, we had number of wells optimized according to tubing sizes. The result wa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