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열 길이의 분포 및 균열 간극의 공간적 분포가 지중 박테리아 클로깅에 따른 균열 암반의 유체투과율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전산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균열 암반 내에 균일하게 흡착되어 있는 지중 박테리아에 용질이 일정 농도로 계속 공급되는 상항을 고려하였다. 균열 길이 분포로는 멱법칙(power law)을 사용하였으며, 균열 간극의 공간적 분포로는 fBm(frartional Brownian motion)을 사용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유체투과율은 하이퍼볼릭(hyperbolic)하게 감소하지만, 백본 균열의 공극률은 큰 변화가 없었다. 멱법칙의 특성변수인 길이지수(a)가 작을수록, 또는 fBm의 특성변수인 허스트 지수(H)가 클수록 유체투과율의 감소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균열 길이 분포의 특성이 균열 간극의 공간적 분포 특성보다 유체투과율 감소 시간에 더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동수구배와 유체투과율의 감소 시간은 선형적으로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e have simulated the effect of fracture characteristics on reduction of effective permeability of fractured rocks due to in-situ bacteria growth. A nutrient is injected continuously for growth of in-situ bacteria. We used a power law for fracture length distribution and a fBm for fracture aperture spatial distribution. The results show that in-situ bacteria growth reduces the permeability hyperbolically, but the porosity of backbone fracture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It shows that the reduction of the permeability proceeds faster for smaller values of length exponent(a) and for larger values of Hurst exponent(H). The fracture length distribution has stronger effect on the speed of permeability reduction than the aperture spatial distribution. The time needed to reduce permeability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hydraulic grad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