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KCI 후보 SCIE SCOPUS
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Clinical Features and Effects on Prognosis of ARF that Occurred after Liver Transplantation간이식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임상상과 예후
오윤규(Yoon Kyu Oh),한진석(Jin Suk Han),안규리(Cu Rie Ahn),김연수(Yon Su Kim),김성권(Suhng Gwon Kim),이정상(Jung Sang Lee),김강석(Kang Seock Kim),이상구(Sang Goo Lee),김성균(Seong Gyun Kim),서경석(Kyung Suk Suh)
UCI I410-ECN-0102-2009-510-004802121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배 경 : 간이식 후 급성 신부전은 빈도가 높고 수술 후 예후 변화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국내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저자들은 간이식 수술 후 발생한 급성 신부전의 빈도, 임상양상, 예후에 미치는 영향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2년에서 2001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간이식 수술을 받은 만 15세 이상의 환자 중 후향적 연구가 가능한 35명(사체 간이식 19명, 생체 부분 간이식 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 과 : 환자군의 성별은 남자 22명, 여자 13명, 나이는 49세(median, range; 18- 65세)였다. 간질환의 원인은 간경변 18명, 간경변과 간암이 같이 있던 경우 10명, 간암 3명, 전격성 간염 3명 그리고 선천성 담도폐쇄증이 1명이었다. 전체 환자 35명 중 사망 환자는 10명이었다. 35명 중 간이식 후 급성 신부전은 25명(71%)에서 발생하였고 이 중 7명(28%)이 사망하였다. 중증(혈청 크레아티닌 ≥2 ㎎/ dL)의 급성 신부전 환자 9명이었고 이 중 7명(77.8%)이 사망하였으나 경증의 급성 신부전 16명에서 사망 환자는 없었다. 투석을 시행 받은 2명은 모두 사망하였다. 수술 후 급성 신부전의 발생 시기는 1일(0- 39일)이었다.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 25명 중 수술 중 장시간 지속된 저혈압 21명, 자발성 세균성 복막염의 병력 10명, 대량수혈 8명, 급성거부반응 6명이었다. 급성 신부전 병발 후 생존한 18명은 신기능이 완전히 회복되었거나 경한 정도의 신기능 감소만이 있었다. 결 론 : 급성 신부전은 간이식 후 흔한 합병증이며 심한 급성 신부전이 있는 경우 예후가 불량함을 알 수 있다. 간이식 후 병발하는 급성 신부전의 적절한 치료 및 예방이 필수적임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Background :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liver transplantation is acute renal failure(ARF ). The outcome in patients who develop postoperative renal failure has been dismal. But there are few reports on ARF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cid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prognosis of ARF in patients undergoing liver transplantation. Methods : The records of 35 adult patients who received liver transplantation at th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october 1992 and June 2001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22 patients were male and 13 were female, with an age range of 15 years to 65 years (median, 49 years). The 35 recipients included 18 with liver cirrhosis, 10 with liver cirrhosis and hepatoma, 3 with hepatoma, 3 with fulminant hepatitis, and 1 with biliary atresia. Death occurred in 10 patients (29%) overall. ARF was developed in 25 cases (71%), and 8 cases (32%) expired. Among the 9 patients with peak serum creatinine level ≥ 2.0 ㎎/dL, 7 patients expired. 2 patients required hemodialysis following liver transplantation and all of them expired. ARF was developed within 1day (0-39 days ). Of 25 ARF cases, 21 cases of hypotension, 6 acute rejection, 10 spontaneous bacterial peritonitis (SBP ), and 8 massive packed RBC transfusion were associated. Renal function at latest follow-up w as improved in patients who were suffered with ARF. Conclusion : ARF is a frequent complication of liver transplantation, and the strategy of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ARF needs to be developed.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