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91
216.73.216.191
close menu
SCIE SCOPUS
혈액투석 환자의 가성 고칼륨혈증
Pseudohyperkalemia on Maintenance Hemodialysis혈액투석 환자의 가성 고칼륨혈증
최창렬(Chang Ryeol Choi),조형도(Hyung Do Cho),강태영(Tae Young Kang),이준수(Jun Su Lee),한호(Ho Han),정청일(Chung Il Jung),이동규(Dong Kyu Lee),유준호(Jun Ho Ryu),한상웅(Sang Woong Han),김호중(Ho Jung Kim)
UCI I410-ECN-0102-2009-510-004802449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목 적 : 만성 신부전 환자에 있어서 고칼륨혈증은 빈번하게 나타난다. 그러나 임상적 증상이 없는 경우나 심전도 이상소견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에는 가성 고칼륨혈증을 의심해보아야 한다. 가성 고칼륨혈증이란 체외 검사에서 혈청 칼륨이 5.6 mEq/ L 이상이면서 혈청 칼륨과 혈장 칼륨의 차이(△K)가 0.4 mEq/ L를 초과하는 경우로 정의하는데 그 원인에는 백혈구, 혈소판 등이 증가하였을 때 응고과정 중 또는 혈액채취과정 중 일어난다고 이미 여러 연구에서 밝혀진 바 있다. 따라서 저자는 본 연구에서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n =42)를 대상으로 혈청 칼륨과 혈장 칼륨의 차이(△K) 및 백혈구, 혈소판수 등을 비교하여 혈액투석 중인 환자에 있어서의 가성 고칼륨혈증의 가능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그 빈도와 임상적 의의 및 원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8년 1월부터 1999년 2월까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인공신장대체요법 센터에서 만성 신부전으로 1년 이상 정기적으로 1주일에 3회 4시간 혈액투석 중인 총 4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1회 측정한 42명의 투석 전 혈청 칼륨과 혈장 칼륨간의 차이(△K)와 백혈구, 혈소판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또한 3회 동일한 환자군를 대상으로 주 3회 투석 전혈액채취로 △K, 백혈구, 혈소판수와의 관계를 Pear son ` s corr elation으로 검색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으로 건강한 성인(n =12)을 각각 비교하였다. 결 과 : 1회 상호 비교할 수 있었던 혈액투석 환자(n =42)의 혈청 칼륨농도의 평균은 5.4±0.14 mEq/ L으로, 정상 칼륨농도 범위의 환자는 24명이었고, 고칼륨혈증 환자는 18명이었다. 반면 혈장 칼륨농도의 평균은 4.9±0.13 mEq/ L으로 정상범위의 환자는 29명이었고, 고칼륨혈증 환자는 11명, 저칼륨혈증 환자는 2명이었다. △K는 - 0.3- 1.6 mEq/ L까지 분포하였고 평균은 0.72±0.3 mEq/ L이였다. 1회 및 3회 상호 비교한 환자의 △K와 백혈구, 혈소판수와의 관계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었다. 1회 측정한 환자 중 혈청 고칼륨혈증인 환자는 18명이었고 그중 혈장 고칼륨혈증 환자는 9명(50%)이었다. 3회 반복 측정한 환자 중 혈청 고칼륨혈증 환자는 11명이었으며 이중 혈장 고칼륨혈증 환자는 5명(45.5%)이었다. 신장기능이 정상인 건강한 성인을 대조군(n =12)의 △K와 백혈구, 혈소판수와의 관계를 비교한 △K는 - 0.1- 0.6 mEq/ L이고, 평균 0.25±0.2 mEq/ L로 혈액투석환자에서 △K의 변동폭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혈구와 혈소판수와의 관계는 연관성이 없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중인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발생한 고칼륨혈증은 가성 고칼륨혈증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환자에 있어서 임상증상이 없으며, 심전도상의 이상이 동반되지 않는 혈청 고칼륨혈증이 있을 때에는 반드시 가성 고칼륨혈증을 의심하여 불필요한 고칼륨혈증 치료를 피하기 위하여 혈장 칼륨을 동시에 검사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고자 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