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부터 1996년까지 4개년 동안 경기, 충남, 강원, 전남지역 일부농장에서 닭 81,000수, 돼지 950두 및 소 65두(총 82,015마리)에 대하여 닭괴사 성장염과 돼지 및 소장독혈증에 대한 유병율을 조사하였으며, 349마리로 부터 본균 60균주를 분리하여 분리율을 산출하였고 중화시험을 실시하여 독소형을 분류하였다.
유병율은 닭 81,000수중 괴사성장염이 250수(0.3%)이었고 돼지 950두중 장독혈증은 90두(9.5%)이었으며 소 65두중 장독혈중은 9두(13.8%)이었다.
C. perfringens의 분리율은 닭괴사성장염의 환축 250수중 36균주(14.4%)에서 본균이 분리되었고 돼지장독혈증은 90두중 21균주(23.3%)에서 분리되었으며 소장독혈증에서는 9두중 3균주(33.3%)에서 분리되었다.
분리된 C. perfringens 독소형은 닭괴사성장염은 36균주중 36균주(100.0%)가 모두 A형이었고 돼지 장독혈중에서는 21균주중 A형이 17균주(81.0%)이었으며 B형이 2균주(9.5%)이었고 C형이 역시 2균주(9.5%)이었으며 소장독혈증에서는 3균주중 3균주가 모두 A형 (100.0%)이 었다.
Outbreak patterns were observed in 250 chickens of necrotic enteritis(0.3%) among 81,000, 90 enterotoxemic pigs(9.5%) among 950, and 9 enterotoxemic cattle(13.8%) among 65 in a farms of Gyeonggi, Chungnam, Kwangwon, and Chonnam area from 1993 to 1996. Clostridium perfringens was isolated from 36 strains(14.4%) among 250 chickens of necrotic enteritis, 21 strains(23.3%) among 90 enterotoxemic pigs, and 3 strains(33.3%) among 9 enterotoxemic cattle. Toxin types by the neutralization test were categorized as A-type in 36 strains(100.0%) among 36 chickens of necrotic enteritis, and as A-type in 17 strains(81.0%), as B-type in 2 strains(9.5%) and as C-type in 2 strains(9.5%) among 21 enterotoxemic pigs, and also 3 strains(100.0%) among 3 enterotoxemic catt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