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Candidate
간전이가 동반된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1 예
A case of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of pancreas associated with liver metastasis
김병수(Byung Soo Kim),류지곤(Ji Kon Ryu),정윤철(Yoon Chul Jung),조상균(Sang Kyoon Cho),장유현(Yoo Hyun Jang),김용태(Yong Tae Kim),윤용범(Yong Bum Yoon),김정룡(Chung Yong Kim)
UCI I410-ECN-0102-2009-510-004708351

IPMT는 우리나라에서는 1992년에 처음 보고되었으며 점차 증례 수가 늘고 있다. 이 질환은 악성일 수 있고 전암성 병변일 수도 있으나 악성일지라도 절제가 가능하여 췌관암에 비해 예후가 양호한 경우가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63세의 남자로서 진단 당시 간전이가 동반되어 있었다. 환자는 3 개월 전에 시작된 반복적인 심와부 동통을 주소로 내원하였으며, 복부 전산화 단층 촬영에서 췌장 체부에 3 cm 크기의 종괴와 췌관의 확장, 다발성 간전이의 소견을 보였다. ERCP에서 팽대된 유두부 개구와 점액 분비, 미만성으로 확장된 췌관이 관찰되었으며, 동시에 시행한 세포진 검사에서 점액성 물질과 비전형적인 원주 상피세포가 보였다. 초음파 유도로 간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전이성 선암으로 진단되었다. 환자는 보존적 치료 만을 받았으며 3개월 후 사망하였다.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has been reported with increasing frequency these days. It can be malignant (adenocarcinoma) or premalignant (adenoma). This tumor, even when malignant, is often resectable and has a favorable prognosis as compared with pancreatic ductal adenocarcinoma. We report a case of intraductal papillary mucinous tumor with liver metastasis in a 63-year-old male patient. He presented with recurrent epigastric pain, which had developed 3 months ago. Abdominal computed tomography showed the diffusely dilated pancreatic duct, 3 cm-sized low-attenuated mass in the body and multiple liver metastasis. During endoscopic retrograde pancreatography, patulous orifice of papilla, mucin secretion and diffusely dilated pancreatic duct were noted. Cytologic examination during ERCP revealed mucinous material with atypical columnar cells. Metastatic adenocarcinoma was confirmed by sono-guided liver biopsy. Only supportive care has been done and he died at 3 months after the diagnosis.(Korean J Med 59:472-477, 2000)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