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216.73.216.153
216.73.216.153
close menu
SCOPUS
Sevoflurane 의 혈역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
The Comparative Hemodynamic Changes of Sevoflurane with Halothane
김현수(Hyun Soo Kim),김광민(Kwang Min Kim),최현(Hyun Choi),박순은(Soon Eun Park)
UCI I410-ECN-0102-2009-510-004620443
* 발행 기관의 요청으로 이용이 불가한 자료입니다.

새로운 흡입성 전신마취제인 sevoflurane의 농도 변화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를 관찰하고자 체중 9.72±0.33kg의 한국산 잡견 12마리에 각각 halothane과 sevoflurane으로 전신마취를 실시하였다. 전지정맥에 18 gauge 카테터를 거치한후 thiopental sodium 5mg/kg 주사하여 외식 소실시킨후 내경 8.0mm의 기낭이 있는 기관내 튜브를 삽관하였다. 인공호흡기로 일회 호흡량 10ml/kg, 호흡수를 분당 15~20회로 조절하였으며 이때 동맥혈 이산화탄소 분압은 35~40mmHg로 유지하였다. 또한 전신마취제 투여전 마취유지로 thiopental sodium4 mg/kg/hr를 지속적 정주하였다. 심전도 감시장치를 부착후 대퇴부를 절개하여 대퇴동맥에 18 gauge 카테터를 거치하여 동맥압 지속적감시 및 혈액가스 검사용 동맥혈 채취로 사용하였으며 우측 외경정맥에는 Swan-Gantz 카테터를 거치하였다. sevoflurane은 Copper Kettle 기화기, halothane은 Ohmeda Fluotec 3를 통하여 투여하였으며 두 마취제의 동일효과 용량(equipotent dose)에서 심박동수, 평균동맥압, 심박출량, 폐모세혈관 쐐기압을 측정하였고 또한 혈역학적 변화가 일정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관찰하였다. 마취약제 흡입농도증가에 따라 sevoflurane이 halothane에 비하여 심박동수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평균동맥압은 halothane, sevoflurane 모두 의의있게(P<0.05) 감소하여 halothane은 075 vol%에 비하여 1.5, 2.25 vol%에서 73.4, 59.4%로 감소하였으며 sevoflurane은 동일 효력용량에서 70.8, 54.1%로 감소하였다. 그러나 심박출량은 sevoflurane이 halothane에 비하여 잘 유지되었다. 폐모세혈관 쐐기압은 halothane이 sevoflurane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05). 혈역학적 변화가 일정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sevoflurane이 halothane에 비하여 현저하게(P<0.05) 빨라서 halothane은 12.2, 13.2, 13.0뿐인 반면 sevoflurane은 6.5, 7.0, 4.8분 걸렸다. 두 마취약제 각각에서 농도변화에 따른 측정치의 비교는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에 의하였으며 두 약제 사이의 비교는 Student t-테스트에 의하여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sevoflurane은 마취농도 변화에 따른 혈역학적 변화가 halothane에 비하여 안정되게 유지되었으며 혈역학적 변화가 일정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은 점으로 미루어 임상에서 사용시 좀더 쉽게 빠르게 혈역학적 변화를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