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각종 심질환에서의 방사성 동위원소 심혈관 조영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onuclide Cardiac Angiography in the Various Heart Diseases
정준기(J. K. Chung),박선양(S. Y. Park),류박영(B. Y. Ryu),조보연(B. Y. Cho),김병국(B. K. Kim),고창순(C. S. Koh)
UCI I410-ECN-0102-2009-510-005499457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비관혈적 방법인 방사성동위원소 심혈관조영술 심장단락 21예에서는 전예에서 진단이 가능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법으로 좌우단락을 진단할 수 있는 최소의 Qp/Qs비는 1.3이었다. 2) 폐의 시간일방사능유선에서 최대방사능치(C1)와 같은 시간 뒤의 방사능치(C2)의 비 C2/C1는 정상대조군에서는 28.6±4.6%(21∼38%)이었고, 좌우단락에서는 67.8±12.2%로 정상대조군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되어 있었다(P<0.01). 3) 좌우단락 8예에서의 폐의 시간일방사능유선을 이용하여 구한 Qp/Qs비는 oxymetry법에 의한 Qp/Qs비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상관계수 0.907, P<0.01). 4) 개심수술후 단락의 교정여부를 방사성동위원소 심혈관조영술로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성적으로 방사성동위원소 심혈관조영술은 간단하고 안전하게 심장단락의 정성적 및 정량적인 분석을 할 수 있었으며 그 성적이 심도자법과 비교하여 높은 정확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반복시행이 용이하기 때문에 수술 후의 교정 여부도 쉽게 판정 할 수 있어 임상적으로 크게 유용하다고 생각되었다.

Radionuclidd cardiac angiography has distinct advantages in safety, patient comfort, cost and ease of performance. This method offers diagnostic accuracy equivalent to that of cardiac catheterization. By this method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diagnosis of the cardiac shunts are available. Also for it is repeatable tvith ease and more physiologic, it has application in following pre- and post-operative shunt patients. We performed the radionuclide cardiac angiographies in 147 cases of heart diseases and 26 cases of normal group. 1) The detection of left-to-right shunt was possible in 22 of 24 patients, and 2 patients were not diagnosed due to small shunt amount.(Qp/Q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