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1
18.97.14.81
close menu
SCOPUS
113mIn 교질에 의한 간주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iver Scan using 113mIn Colloid
홍창기 ( Chang Ki Hong ) , 고창순 ( Chang Soon Koh ) , 이종헌 ( Chong Heon Rhee ) , 장고창 ( Ko Chang Chang )
UCI I410-ECN-0102-2009-510-005499720
* This article is free of use.

간 scan용 113mIn 교질을 만들어 이의 간섭취율 및 혈중 clearance을 측정하고 간 scan을 시행하여 198Au 교질의 성적과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상인에 있어서 113mIn 교질의 간섭취율 반감시간은 1.40±0.24분 및 혈중 clearance의 반감시간은 1.47±0.27분으로 198Au 교질의 경우보다는 유의한 단축을 보였다. 그러나 이로서 간기능을 추정하는 것은 반드시 정확한 index가 되는 것 같지 않았다. 2) Space occupying lesion의 해상능은 113mIn 교질을 사용하면 198Au 교질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3) 113mIn 교질의 간섭취율은 간기능의 변화에 따르는 198Au 교질의 간섭취율의 변동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이는 RES의 탐식능의 다양성에 기인한 듯 하였다. 4) 113mIn 교질에 의한 간 scan에 있어서는 정상인에 있어서도 비장의 출현이 있었다. 5) 간기능장애가 있을때는 간의 교질 섭취성이 113mIn 교질에 있어서 198Au 교질보다 더욱 장애를 받으며 비장의 교질 섭취능은 상반되는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6) 113mIn 교질을 만든 다음 인체에 사용하기 전에 coarse filter에 걸려서 사용하는 경우 더욱 좋은 간 scan상을 볼 수 있었다. 7) 간 scan에 113mIn 교질을 사용함으로서 scan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었다.

There have been reported numberous cases of liver scanning in use of 198Au colloid by many investigators, however, one in use of 113mIn colloid has not been reported as yet in this country. The dose of 113mIn for high diagnostic value in examination of each organ was determined and the diagnostic interpretability of liver scanning with the use of 113mIn was carefully evaluat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the liver scanning by the conventionally applied radioisotope. The comparative study of both figures of liver scanning with the use of 113mIn colloid and 198Au colloid delivered following results:1) The liver uptake rate and clearance into peripheral blood were accentuated more in case of 113mIn colloid than in case of 198Au colloid. 2) The interpretability of space occupying lesion in liver scanning with 113mIn was also superior to one with 198Au. 3) The figure of liver scanning with 113mIn colloid corresponds not always to the figure with 198Au. This difference can be explained by difference of phagocytic ability of reticuloendotherial system within liver. 4) In the liver scanning with 113mIn colloid, the spleen is also visualized even in normal examine. 5) In the cases of disturbed liver function, uptake is more decreased in use of 113mIn colloid than in 198Au, in the spleen, however, the way is contrary. 6) With use of 113mIn colloid, the time required for scanning could be shortened in comparison with 198Au. 7) The filtration of 113mIn colloid for scanning prior to human administration gives an expectation for better scanning figure.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