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18.97.14.89
18.97.14.89
close menu
SCOPUS
임신중 부난소 부위에 생긴 경계성 장액성 낭선종 1예
A Case of Parovarian Serous Tumor of Borderline Malignancy in Pregnancy
강현아(H . A . Kang),김형선(H . S . Kim),전리라(L . L . Jun),김재홍(J . H . Kim),박창수(Chang Soo Park),서승식(S . S . Suh),이영호(Y . H . Lee)
UCI I410-ECN-0102-2009-510-005365158
This article is 4 pages or less.

임신중 난소 종양은 비교적 드물지 않게 나타나며, 대부분이 양성이고 악성 종양은 드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중 경계성 상피성 종양은 모든 상피성 종양의 15-20%를 차지하며, 그 조직학적, 임상적 소견 등이 잘 규명되어 있다. 반면, 부난소 낭종은 경계성 이상의 악성 병변의 보고는 매우 드물며, 부난소 상피성 종양의 형성기전 및 임상경과, 조직학적 소견 등은 아직도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저자 등은 30세 산모에서 우측 자궁 부속기 주변에 발생한 경계성 부난소 장액성 낭선종 1예를 경험하였기에 간단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Ovarian tumors in pregnancy are relatively frequent. Most of them are benign and the malignant tumors have been very rare. Epithelial ovarian tumors of borderline malignant potential presents a well-defined histology and clinical behavior, comprising approximately 15-20% of all epithelial cancers. On the other hand, parovarian epithelial tumor with borderline malignant potential is very rare. In addition, there are some controversies about the orgin, clinical behavior, histologic grading of the parovarian epithelial tumor. We present a case of right parovarian serous tumor of borderline malgnancy in 30-year-old pregnant woman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