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성 천포창은 피부와 점막에 극세포 해리로 인한 수포를 형성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 치료에 스테로이드 제제와 함께 azathioprine 이나 cyclophosphamide 같은 면역억제제를 병용해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원에서 cyclophosphamide를 prednisolone과 병용해 약 11개월간 매일 경구 투여받은 38세 심상성 천포창 여환에게 4개월간의 무월경이 발생했고, 당시 검사한 FSH, LH 와 estradiol 수치는 폐경기 범주에 속해 있었고, 추후 호르몬 검사수치도 변화가 없었으며, 환자는 현재까지 총 13개월간 무월경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이 환자에 있어서 cyclophosphamide 총투여량이 33g에 이르기 때문에 생리주기나 난소기능을 회복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이에 저자들은 심상성 천포창 환자에 있어서 cyclophosphamide 의 장기 경구투여에 합병한 조기난소부전의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Pemphigus vulgaris is autoimmune disease characterized by acantholysis and blister formation in the skin and mucosa. The introduction of corticosteroids has greatly reduced mortality, and a number of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azathioprine and cyclophosphamide are recommended as adjuncts to oral steroids. A 38-year-old female patient of pemphigus vulgaris has been managed with daily oral cyclophosphamide as adjunct to prednisolone for about 11 months, and then transfered to our department due to amenorrhea for 4 months. Hormonal profile of FSH, LH and estradiol revealed in postmenopausal range and follow-up results of hormonal profile were not changed, and amenorrhea continues for total 13 months until now. So we report a case of premature ovarian failure complicated by long-term oral administration of cyclophosphamide.